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동북아해역의 언어와 문화

동북아해역 서양 외래어의 유입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네덜란드 기원 외래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languages in Northeast Asia - Focused on Japanese Dutch-original of Japanese Loanwords

양민호, 津田智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will study Western languages in Northeast Asia sea region and find out about them from the Netherlands origin that came through Nagasaki, Japan. The main analysis is the word "sea related" among the terms introduced in Japan in the Edo period, centered on Netherlands. And I tried to trace the traces of the Netherlands language that remains so far. Contact with Western culture has continued since the age of Muromachi and since then, since then, foreign exchange and contact with foreign countries. Thus, many foreign words were easily absorbed and accepted at that time. Among them, Netherlands origin words, such as "Glas" and "Kop," have not been given meaning to the English language. Netherlands, which entered the Edo era, is shin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e, but it is especially evident in terms of sea. Some forms of Netherlands language still remain, for example, Dek, Dok, Mast, Vlag, and Matros. However, in some cases, it is hidden in dialect in the form of seaside words(Hama Gotoba) as it spreads out around sea areas. Such studies cannot be determined by simple analysis. we think that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urately and resolve the issue through reasonable and continuous efforts amid the large research topics of Northeast Asia Sea and the humanities network. In this paper, we reviewed only some regions (Japan) and some languages (Netherlands) for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s into Northeast Asia sea region, but we will conduct further research by making the area more detailed and detailed.

한국어

본 논문은 동북아해역의 서양 외래어에 대한 연구로 일본의 나가사키를 통해 유입된네덜란드 기원의 외래어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주된 내용은 에도 시대 때 네덜란드어를 중심으로 일본에 유입되어 정착된 용어 중 바다관련 어휘와 현재까지 자기 영역을 견고히 지키고 있는 네덜란드어의 흔적을 더듬어 가며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의 서양 문화와의 접촉은 무로마치 시대 이후 외국과의 교류와 접촉을 시작하여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데, 당시 많은 외래어를 손쉽게 흡수하고 수용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가라스(Glas)와 콥뿌(Kop)처럼 네덜란드어 기원의 말은 영어 기원의 그라스(Glass)와 캅뿌(Cup) 어휘와 경쟁을 하였지만 선사용(先使 用) 어휘의 장점 즉 선점 효과를 통해 그 자리를 영어에 내주지 않고 독자적으로 자신의의미 영역을 담당하게 되었다. 에도 시대에 들어온 네덜란드어는 과학, 기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빛을 발하고있지만 특히 바다 관련 용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데키(Dek), 도크(Dok), 마스토(Mast), 후라이키(Vlag), 마도로스(Matroos) 등과 같이 네덜란드어가 아직까지 그대로 남아 있는 형태도 존재하지만 해역을 중심으로 퍼져나가면서 바닷가 말형태로 방언 속에 숨겨져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단편적 흐름만으로는파악할 수도, 해결할 수도 없다. 향후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라는 큰 연구 주제 속에합리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으로만 해결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해역의 외래문화 유입에 대하여 일부지역(일본), 일부언어(네덜란드)만을 대상으로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앞으로는 동북아해역을 보다 면밀하고 세분화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동북아해역의 외래문화 유입
Ⅲ. 네덜란드 기원의 외래어
Ⅳ. 나오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민호 Yang Minho.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HK연구교수
  • 津田智史 Tsuda Satoshi. 宮城教育大学 教育学部 国語教育講座 准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