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 근대 동북아해역의 지식네트워크: 운동으로서의 국학

근대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 : 국학으로서의 중국학

원문정보

Humanities Network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 Chinese studies as National Learning

서광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how China has become a subject of study around the world in terms of knowledge, and how Chinese people tried to identify themselves academically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earning'. In the analysis of 'national learning' in the late 1990s, Chinese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national learning as a field of study was form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of two paradigms. It is a paradigm of indigenism and worldism. In other words, scholarly discussions related to nation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the past hundred years have repeatedly worked with these two paradigms. The first paradigm that can be called indigenism is the study of the last period of Qing Dynasty and the Early of Republican governments, which are represented by Zhang Taiyan, and the latter is the product of the 54 New cultural Movement, which are represented by Hu Shi. In particular, we paid attention to how the human network in Northeast Asia work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is 'National Learning'. In China, 'National Learning' was recognized as a basic science for the formation of a modern nation state and as a study of the response to Western Studi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awareness, modern Chinese intellectuals was influenced by the essence of national culture Conservationism of Meiji Japan, and accepted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in actual research.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Chinese 'National Learning' was established by making a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Chinese Studies(支那學). In this sense, the 'National Learning', which pursues only the unique aspects of the country, is in fact a movement,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not born in a closed space.

한국어

이 글은 중국이 지식의 차원에서 어떻게 전세계에 연구의 대상이 되었는지, 그 가운데중국인들은 자신을 어떻게 학문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는지를 ‘국학’이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1990년대 후반 ‘국학’에 대한 분석에서 중국의 연구자들은 학문 영역으로서 국학의 해석은 두 가지 패러다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것은 바로 토착주의와 세계주의 패러다임이다. 다시 말해 근대 백 여 년의 역사에서 국학과 관련된 학술적 논의가 반복해서 이 두 패러다임으로 작동해왔다는 말이다. 토착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첫 번째 패러다임은 장타이옌(章太炎)으로 대표되는 만청과 공화정부 초기의 학문이고, 후자는 오사신문화운동의 산물로서 후스(胡適)가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특히 이 ‘국학’의 형성과정에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적 계기가 어떻게작동했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중국에서 ‘국학’은 서학에 대한 대응학문으로서 또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에 필요한 기초학문으로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이 성립되는과정에 메이지 일본의 국수보존주의에 영향을 받았고, 또 실제적인 연구에서도 일본 동양학의 성과가 수용되기도 했다. 그 결과 중국의 ‘국학’은 일본의 지나학과 서로 관계를맺으면서 성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그 국가의 고유한 것만을 추구한다는‘국학’은 사실은 하나의 운동이며, 또 폐쇄적인 공간에서 탄생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국학 형성의 두 가지 패러다임
Ⅲ. 국학 형성에 나타난 인문네트워크적 계기 1-일본의 동양학
Ⅳ. 국학 형성에 나타난 인문네트워크적 계기 2-일본의 국수보존주의
Ⅴ. 1920년대 중국의 국고보존운동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광덕 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