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atus and educational value of adolescent literature in literary education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adolescent literature and suggested how it is desirable to accept teen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ture education. Students are very important in literature education. They say that textbooks should have work that is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In the process, literature by teenagers was raised that reflected their current liv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good adolescent literature right now. We should also be careful because negative effects are expected. We must loosen up on concepts. And we need to figure out how to read the existing works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also looked at the sanctions aspects and problems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result is as follows. Although a small number of recently published literature on teens were included, neither Eww nor the literature of teenagers was highlighted. While the attempt by textbooks to read existing works from a teenage literary standpoint was discovered, the problem was that the method to relate the experience of text to the learner's reality was rather abstract and superficial.
한국어
이 논문은 국어교육에서 청소년 문학이 대두된 배경을 검토하고, 문학교육의 입장에서 청소년 문학론을 어떻게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학교육에 학습자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면서, 텍스트의 적절성과 관련한 이견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작품으로 제재를 교체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 문학의 특수성보다는 문학의 보편성에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생겨났다. 이 과정에서 청소년의 현재적 일상을 담은 청소년 문학이 매력적인 제재로 떠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양질의 청소년 문학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제재 대체로 인해 생길 부정적 영향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청소년 문학의 개념을 느슨하게 잡을 것, 기존의 작품을 청소년 문학적 관점에서 읽을 방법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 문학의 수록 양상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발표된 청소년 문학이 몇 편 수록되어 있었으나 청소년 문학적 특징이 부각되지 못했다. 기존의 작품을 청소년 문학적 관점으로 읽으려는 교과서의 시도들이 발견되었지만, 텍스트의 경험과 학습자의 현실을 연계시키는 방법이 다소 추상적이고 피상적이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시공간적 거리’라는 문제와 문학교육의 딜레마
Ⅲ. 청소년 문학론의 의의와 한계
Ⅳ. 청소년 문학의 교과서 수록 양상과 문제점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