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bliotherapy Program to help Ego-Identity Formation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bibliotherapy program that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form ego-identity as a goal achieved by means of a career exploration process and simultaneously as an element that helps them be more effective at the said proces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existing program development models and devised a development model that supplemented their problems. Based on the development model, each stage of program development underwent a process of verification by way of needs assessment, expert verification, and observation. The developed program comprised of a total of 10 sessions, with each session being 45 minutes long. The study conducted and evalua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administered the program on 40 first and second grade middle students(20 in the experimental group, 20 in the control group)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and also a pretest and posttest.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used the Korean model of the ego-identity index by Ah-Chung, Park. The case study collection tool for the qualitative assessment included bibliotherapy activity material, satisfaction questionnaires for each session and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the experience report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which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form ego-identity during career exploration, was formed by an assessment according to procedures by developing a program development model. Second, the bibliotherapy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help career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to form ego-identity, improved the scores of overall ego-identity as well as its sub-elements(subjectivity, self-acceptance, confidence for future, initiative, intimac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진로탐색과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자, 진로탐색과정을 통한 목표로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분석한 후, 문제점을 보완한 개발 모형을 구안하였다. 개발 모형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단계마다 요구조사, 전문가 검증, 관찰 방식 등을 통하여 검증 과정을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회기 당 45분씩 총 10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고 평가하였다.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1, 2학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적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는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박아청, 2003)를 사용하였다. 질적 평가를 위한 사례연구 수집도구는 독서치료 활동자료, 회기별과 종결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지, 참여자의 경험보고서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진로탐색 과정에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개발하여 절차에 따라 평가를 통해 구성되었다. 둘째, 진로탐색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기 위해 개발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자아정체감 전체와 하위요소(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도성, 친밀성)의 점수를 향상시켰다.
목차
I. 서론
II. 진로탐색과정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독서치료
1. 진로탐색과정에서 자아정체감 형성의 중요성
2. 자아정체감 형성과 독서치료의 유용성
III. 중학생의 진로탐색과정에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독서치료프로그램 개발 방법과 효과 평가
1. 프로그램 개발 방법
2.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3. 수정·보완 및 최종안 선정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민혜, 「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2김신정,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3몰입(Flow)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모형네이버 원문 이동
- 4김현애, 「도서관의 청소년 독서치료에 나타난 치료요인 탐색과 측정도구 개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5중학생의 독서와 진로 탐색의 관계네이버 원문 이동
- 6사례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 연구설계와 방법네이버 원문 이동
- 7명창순, 「독서요법을 통한 저소득층 이혼 가정 아동의 친사회성 개발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8문현희, 「독서요법을 통한 저소득층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9Validation of 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네이버 원문 이동
- 10Bibliotherapy for human nature therapy of the juvenile delinquent.네이버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