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영어 전치사 ‘of’에 대한 재고찰

원문정보

The English Preposition ‘of’ Revisited

남승흥, 박순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preposition ‘of’ takes the form ‘X of Y,’ where one entity falls under a restricted inherent sub-part of the other entity. Typically, ‘X’ plays as the trajector, being the part of ‘X of Y,’ while Y, as the landmark, being the whole of it. The position of the trajector is considered to be always more salient than that of the landmark. Therefore, the shift from ‘X of Y’ to ‘Y of X’ can occur to emphasize the landmark. Based on the facts above,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preposition of in English uniformally be treated as a two place predicate. Given its nature of transitivity, the preposition ‘of’ takes two arguments of ‘X’ and ‘Y.’ This proposal is based on Higginbotham’s (1985) revised version of Theta Theory and Burzio’s (1986) the analysis of implicit argument in the causative construc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preposition ‘of’ adopts a predicate construction like a verb, this paper further suggested that the prepositional phrase where the trajector (noun) does not appear like ‘X(verb) of Y(noun)’ or ‘X(adjective) of Y(noun) carries an implicit argument in the place of ’X’ in the structure of the preposition ‘of.’ This paper further contended that the subject generated from the place where the trajector is supposed to appear is raised for the Case reason, leaving the trace behind. The passive sentences were also discussed to make a distinction of the cases where the ‘X of Y’ is involved in the small clause and the cases where the ‘X of Y’ is not. Given that the small clause has an IP, which carries the empty INFL, the form of ‘product (IA) of material is made’ was defined as being constructed within the small clause, whereas the form of ‘product is made (IA) of material’ is not. Therefore, this paper has shown that the analysis of two place predicate for the preposition ‘of’ in English is well maintained, such that not only the cases where the preposition ‘of’ takes the external as well as internal arguments, but the cases where the external argument does not appear can be accounted for in a unified and systematically way.

한국어

영어 전치사 ‘of’는 [X of Y]의 형식을 가지고 한 개체가 다른 개체의 내재적이며 제한된 하위 부분에 해당하는 종속관계로 두 개체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에 놓여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X는 탄도체(trajector)로서 부분을 나타내고 Y는 지표(landmark)로서 전체를 나타내는 동시에 탄도체에 해당하는 요소의 자리는 지표의 요소에 비해 현저성이 부여된다고 본다. 그러므로 전체인 지표를 강조코자 할 때는 [Y of X]로의 전도현상이 발생하여, X와 Y의 자리가 전환될 수 있다. X에 해당하는 요소는 다양한 품사로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영어 전치사 ‘of’를 재고찰 하면서, 그 동안의 선행연구에서 보여준 ‘of’-구의 구조를 X의 출현 여부에 관계없이 2항 술어로 간주하고, 전치사 ‘of’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이 외부논항의 적절한 정의에 따라 일관성 있게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의미역(theta-roles)에 대한 포화 이론 (Saturation Theory)을 근거로. 논항이 술어로부터 의미역을 부여받는 것이 아니라, 술어가 취하는 논항 자리에 의미역이 제공됨으로서 해당하는 항(place)의 자리에 논항이 위치하여 의미역 조건이 해소되는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탄도체(X:명사) ‘of’ 지표(Y:명사)]를 ‘of’의 기본 형식을 보며, [동사 of 명사] 또는 [형용사 of 명사]의 형식에서처럼 탄도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는 암시적 논항(implicit argument)으로 간주되거나 탄도체 자리에 기저 생성된 주어가 상승하여 흔적이 남겨진 경우라는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소절(small clause)이 공(empty) INFL을 머리어로 하는 IP임을 근거로 소절 형식을 취하는 유형과 그렇지 않는 유형의 의미적 차이점을 비교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어온 전치사 ‘of’의 [X of Y]의 구조가 [X/(IA) of Y]의 구조임을 주장하고, 이러한 구조로 전치사 ‘of’의 다양한 활용이 일관성 있게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2항 술어 ‘of’
Ⅲ. 수동형과 전도현상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승흥 Nam Seungheung. 동아대학교 시간강사
  • 박순혁 Park Soonhyuck. 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