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왕권 계승의 정당성과 전국시대 정치사상

원문정보

The Legitimacy of Kingship in the Political Thought of Warring States China

빈동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chaeologically excavated texts,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Qin and Han periods, have broaden our horizons of understanding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times. They have provided us the opportunity to retrospect the traditional views on the intellectual life of Early China. Some of the philosophical texts found in the Chu tombs of Warring States China revolved around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s that had been discussed since the time of Confucius. These excavated texts essentially reflect a new discourse of political philosophy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traditional views on the received texts.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myth on “Yielding the Throne” (shanrang 禪讓) and “Elevating the Worthy” (shangxian 尙賢) found in the Chu manuscripts, as well as the received texts like the Mencius, suggest that Mencius’s discourse was part of various responses to the current issue of hereditary succession into which other contemporary intellectuals also delved. This requires us to rethink Mencius’s view in a broader context of intellectual society of Warring States China. Keeping this in mind, I shall first analyze the Chu bamboo manuscript “Zhengwu” (程寤) by focusing on the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in rulership and the Mandate of Heaven as the ultimate source of such rulership, and investigate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erms of the legitimacy of kingship by using other Chu bamboo manuscripts such as the “Zigao” (子羔), “Tang Yu zhi Dao” (唐虞之道), and “Rong Cheng shi” (容成氏).

한국어

전국시대부터 진한 대까지의 무덤으로부터 발굴된 문헌들은 그 시대 의 지적 토대를 이해하는 데, 인식의 지평을 상당히 넓혀주었을 뿐만 아 니라, 고대 중국의 지적 삶에 대한 전통적 이해를 재고할 기회를 제공하 였다. 전국시대 초나라 무덤에서 발견된 일부 철학적 텍스트들은 공자 로부터 시작한 유가 사상의 중요한 정치적⋅철학적 개념들을 다루고 있 다. 본질적으로 이 텍스트들은 전래문헌의 전통적 견해에서는 간과되었 던 새로운 정치철학적 담론을 반영한다. 말하자면, 전국시대 초나라 지 역의 텍스트들 속에서 발견되는 ‘선양(禪讓)’과 ‘상현(尙賢)’에 관한 신화 의 다양한 내러티브는, 맹자의 논의가 동시대 다른 지식인들도 탐구한 세습적 왕권 계승의 문제에 대한 여러 대안 가운데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맹자의 견해를 좀 더 넓은 정치적⋅지적 맥락 속에서 조명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먼저 왕권의 정당성과 그 정당성의 절대적 원천으로서의 천명(天命)에 초점을 맞추어 청화간 『程寤』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후 『子羔』 , 『唐虞之道』 , 『容成氏』 같은 초죽간(楚竹簡)을 사용하여 왕권계승의 정당성과 관련한 전 국시대의 정치사상을 검토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고대 중국의 정치 권력과 天의 역할
1. 전국시대의 왕권과 天의 역할
2. 신화를 통한 역사의 재편성: 과거의 꿈, 현재의 통치
Ⅲ. 왕권의 禪讓과 尙賢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빈동철 Dongchoel, Bin.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