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尙書』 성립 과정에 대한 연구 - 淸華簡 『程寤』의 전승과 사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Path of Shang Shu(尙書) : Focus on the Cheng Wu(程寤) text of the Tsinghua Collection of Bamboo Slip Manuscripts

『상서』 성립 과정에 대한 연구 - 청화간 『정오』의 전승과 사상을 중심으로

성시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s passing down situation and significance of Cheng Wu (程寤) which people have regarded as one chapter of Yi Zhoushu(逸周書). To write the paper, it is to conduct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ontent in the excavated text which Qinghua University preserves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text. Cheng Wu(程寤) narrates that the king of Wen’s wife, Taisi(太姒), received divine revelation in her dream, and the king practiced a rite, and then Shangdi (上帝) gave him and his crown prince whose name was Fa(發) who became the king of Wu(武王) later the Ming of Shang(商命). Since it is to confer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 by a revelation in a dream and contains a religious and mystical factor, especially with regard to contrasting with the concept of Minbenzhuyi(民本主義, rooted in the people) in Wugao(五誥) conferring of the Mandate of Heaven through the revelation in the dream, I guess that it is to not consider Cheng Wu(程寤) as a Confucian text, including Shangshu(尙書). To demonstrate my argument, I infer that the contents of Cheng Wu(程寤) is not possible to record the Confucian text which has the Minbenzhuyi(民本主義) concept such as Shangshu(尙書) Wugao(五誥) after analyzing and comparing Cheng Wu(程寤) to other texts to trace the process of its omission. From my inference, I argue that the Mandate of Heaven ideology on Minbenzhuyi that a ruler should serve his people replaces of mystical thought of Cheng Wu, then becomes the orthodox Confucian thought. The Confucian ideology, Minbenzhuyi, does not deny and prevent a breakdown of the social system which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ruler and subjects. Minbenzhuyi even had enhanced this relationship. Although Heaven makes the people perceives the will of the transcendent thing through a dream or religious rite, I believe that we should think of this thought which are seized by existed objects to exercise power in a proper way because there is still inequal and governing power today.

한국어

이 논문은 『逸周書』의 한 편으로 여겨졌던 문헌인 『程寤』의 전승 상황 과 그 사상적 의미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淸華大學藏戰國楚竹 簡(壹)』에 수록된 『程寤』의 문헌적 문제와 내용을 전래문헌과 비교 분석하 였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尙書』의 성립 과정을 추론하였다. 『程寤』에는 周文王의 正妃太姒가 꿈을 통해 계시를 받고, 일련의 종 교 의례를 거친 후, 文王과 훗날 武王이 되는 태자 發이 上帝로부터 商의 命을 수여받았다는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이는 다른 전래 문헌들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내용이다. 이렇듯 天命수여에 관하여 꿈에 의한 계시라는 종교적 요소가 짙게 깔린 『程寤』의 신비주의적 사고는 『尙書』, 특히 五誥에서 드러나는 민본주의적 사고와 충돌하며, 이 때문에 『尙書』 를 비롯한 유교 경전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고 추측된다. 이를 논증하 기 위하여 이 논문은 『程寤』의 여러 판본을 비교 분석하여 『程寤』가 유교 경전에서 도태된 양상을 살펴본 후, 그 내용이 『尙書』 五誥를 비롯한 유 교적 민본주의적 사고에 입각해 서술된 西周의 受命과 양립 불가능함을 추론하였다. 이를 통하여 『程寤』의 신비주의적 사유는 도태되고 통치 권 력의 운용이 피통치자를 위해야만 한다는 민본주의적 天命觀이 유교의 정통적인 사유방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유교의 민본주의 사상이 인간 사회에 통치-피통치의 구조를 타파하거 나 부정하지는 않는다. 도리어 이 구조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天이라는 초월적 존재의 의지가 꿈이나 종교 의 례와 같은 신비적 수단을 통해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 실존 하는 피통치자를 통해 파악된다는 이 사상은, 통치 권력이라는 불평등한 지배권이 이 세계에 부정할 수 없이 엄존하는 이상, 그 권력의 올바른 운 용을 위하여 진지하게 음미해 볼 만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며
Ⅱ. 『程寤』의 내용과 전승 상황
Ⅲ. 권력 획득의 정당화를 위한 새로운 사상의 필요와 『尙書』의 민본사상
Ⅳ. 결론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시훈 Sihun Sung. 영남대학교 철학과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