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and CSR perception experienced by Low Cost Carriers on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for Low Cost Carriers :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and Moderating Effect of Compassion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and CSR perception o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and moderating effect of compassion. The study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ly, testing the influence of customers’ risk and CSR perception on the brand image using low cost carriers; secondly, the effect of brand image o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thirdly, ascertaining the role of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in relationship between risk and CSR perception of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brand im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perception and brand image.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customers who use low-cost carri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brand im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perception and brand image of low-cost airlines. Second, there i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we have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brand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nd CSR perception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위험지각과 브랜드이미지의 관계
2. CSR 인식과 브랜드 이미지의 관계
3.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행동의도의 관계
4. 위험지각과 고객행동 의도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매개효과
5. CSR 인식과 고객행동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매개효과
6. 위험지각과 브랜드이미지의 관계에서 컴페션의 조절효과
7. CSR 인식과 브랜드이미지의 관계에서 컴페션의 조절효과
III.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절차
3. 조작적 정의 및 변수의 측정
IV. 분석결과
1. 변수들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CFA) 및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2.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3.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분석
4. 위험지각과 고객행동의도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매개효과
5. CSR 인식과 고객행동의도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매개효과
6. CSR 인식과 브랜드이미지의 관계에서 컴페션의 조절효과
7. 위험지각과 브랜드이미지의 관계에서 컴페션의 조절효과
V. 결론
1. 결론
2. 시사점
3. 향후 연구 및 한계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