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공원 건강지수개발을 위한 이온지수 평가 연구 – 월악산국립공원 만수계곡을 사례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on Index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ark Health Index – A Case Study on the Mansu Valley of Wolaksan National Park

이상훈, 최원준, 최송현, 김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Mansu Valley in Wolaksan National Park was selected as a research sit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park health index. The timing of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spring, except for days when rain could damage the measuring device or not mee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measurement ar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ion index(positive ion, negative ion) and were performed using a fixed measurement method. The measured data used Duncan's as a follow-up test through oneway layout distribution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on index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valley. For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temperatures were Case II 19.56°C, Case I 21.16°C, relative humidity Case II 19.04%, Case I 14.51%, solar radiation Case II 409.36 W/m2, Case I 477.47 W/m2, and wind speed Case II .77 m/s, Case I 1.01 m/s. positive ion is Case I 1128.09 ea/cm3, Case II 965.06 ea/cm3, negative ion is Case I 1194.07 ea/cm3, Case II 1204.55 ea/cm3, Ion index is Case I 1.09, Case II 1.31, Case II was analyzed to be 0.22 higher than Case I. The difference in the negative ion in Case II and Case I was analyzed to be 10.49, but the results of the ion index were 0.22 higher in Case II.

한국어

본 연구는 국립공원 건강지수 개발을 위해 월악산국립공원 내 만수계곡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측정 시기는 봄철로 실시하였으며, 강우 등에 의하여 측정기기의 훼손의 우려가 있거나 연구목적에 부합하기 않은 날은 제외하였다. 측정항목은 기상특성(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과 이온지수(양이온, 음이온)로, 고정측정방법을 이용 하여 실시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사후검정으로 Duncan's을 이용하였으며, 계곡의 시간에 따른 기상특성, 이온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상특성의 경우 기온은 Case II 19.56oC, Case I 21.16oC, 상 대습도 Case II 19.04%, Case I 14.51%, 일사량 Case II 409.36 W/m2, Case I 477.47 W/m2, 풍속 Case II .77 m/s, Case I 1.01 m/s이였다. 양이온 발생량은 Case I 1128.09 ea/cm3, Case II 965.06 ea/cm3, 음이온 발생량의 경 우 Case I 1194.07 ea/cm3, Case II 1204.55 ea/cm3, 이온지수는 Case I 1.09, Case II 1.31로 Case II이 Case I보 다 0.22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II와 Case I에서 음이온 발생량의 차이는 10.49로 분석되었지만, 이온지수로 산출한 결과 Case II에서 0.22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계곡특성에 따른 기상특성
2. 계곡특성에 따른 이온지수특성
3. 계곡특성에 따른 시간대별 특성
4. 통계분석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훈 Sang-Hoon Lee.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최원준 Won-Jun Choi.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최송현 Song-Hyun Choi.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김정호 Jeong-Ho Kim. 건국대학교 친환경과학부 녹색환경시스템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