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와 결손ㆍ보수로 본 지붕구조의 가설적 복원

원문정보

Hypothetical restoration of roof structure shown by loss and repairs of roof tile

노윤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appear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life and replacement cycle of roof tiles in roof tile research. Regarding this issue, the ethnography investigation method was used to show the location of and investigate antefix for seven buildings including government buildings, Confucian schools and lecture halls that still have antefix produced pre-1950 in the Gyeongju region. There were different antefix losses and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bearing of buildings and roof types. Based on buildings facing south, the antefix on the northern side were replaced the most frequently, regardless of the roof type. Next, the antefix on the eaves of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were replaced,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gable part was the latest, thus having the oldest antefix. The life of antefix used in buildings included that of over 400 years and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over 20 types of female and male antefix were placed on the same building.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rate of female antefix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male antefix, and the loss rate of male antefix was high, thus showing that the longer the life of the building, the more male antefix were used. Furthermore, the reason why the survival rate of antefix of the gable was high was because it was protected by soft rock, inclined floors and male roof tiles, and there was a tendency of not being replaced during repairs. On the contrary, male antefix on the eaves lost the filling sand due to direct and indirect freezing and rupture, thus being damaged and lost due to falling. Loss and repair of antefix in buildings was an ordinary phenomenon and action, and small-scale repairs occurred regularly, while the replacement cycle per roof position were different, and therefore, large-scale remodeling was presumed when the replacement cycle of all four sides coincided. Thus, the replacement pattern of roof tiles from the perspective of loss and repairs can be understood. By applying the above results for building remains excavation studies,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roof structure of building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ode of antefix and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There are many prerequisites and exceptions, but based on buildings directed south, if the old antefix are concentrated in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while the latest antefix is excavated from the north, then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it is a hipped roof. Also, if the oldest antefix is excavated in the east and western sides and antefix of medium periods is found in the south and the latest antefix is excavated in the north,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it being a gable roof. Also, if antefix from the same period is excavated in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and antefix from the earliest period is excavated on top of it, while the latest antefix is excavated from the north,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it being a hipped and gabled roof. Based on the above contents,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records issues on antefix distribution during building remains studies, which is the consuming site, and to set a floor era through associated relics in chronological recording of antefix.

한국어

기와연구에서 기와의 수명과 교체주기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듯하다. 이 문제에 대하여 민족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경주권역의 1950년 이전 제작된 막새가 남아있는 관아건물, 향교, 서원 등 건축물 7동에 대하여 막새 위치를 표시하고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건축물의 방위와 지붕의 형태에 따라서 막새 결손·잔존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남향 건축물 기준으로 지붕형태와 관계없이 우선 북쪽의 막새가 가장 빠른 주기로 교체되었다. 다음으로 동·서·남면의 처마부 막새가 교체되었으며, 합각부 교체주기가 가장 늦어서 오래된 막새가 잔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건축물에 사용된 막새 수명은 400년 이상 잔존한 경우도 있었으며, 한 건물에 20종 이상의 암·수막새가 올려진 경우도 있었다. 또 암막새의 보존율이 수막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수막새의 결손률이 높아 건축물의 수명이 길수록 총 사용된 수막새의 양이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합각부의 막새 잔존률이 높은 이유는 연암과 내림마루, 착고에 의해 보호되었고, 또 보수 시 교체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처마부 수막새는 직·간접적 동파에 의해 홍두깨흙이 유실되어 낙하로 인해 결손되는 사례가 많았다. 건축물에서 막새의 결손과 보수는 상시 일어나는 현상이자 행위이므로, 소규모 보수는상시 행해지고, 지붕 위치별 교체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4면의 교체주기가 만날 때 대규모중수(重修)가 행해진다고 보았다. 따라서 결손과 보수의 측면에서 지붕 기와의 교체패턴을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건물지 유적 발굴조사에 응용하면, 건축물의 방향과 막새의 분포양상에따라 건물의 지붕구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전제조건과 예외적인 상황이 있지만, 남향한 건물 기준으로 동·서·남면에 오래된 막새가 집중되고, 북쪽에 가장 늦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면, 우진각지붕일 확률이 높다. 또 동·서면에 가장 오래된 막새가 출토되고, 남면에 중간시기의 막새, 북면에 가장 늦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면, 맞배지붕일확률이 높다. 또 동·서·남면에 같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고, 그 상부에서 가장 빠른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며, 북면에서 가장 늦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면, 팔작지붕일 확률이높다고 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소비지인 건물지 유적 조사 시 막새 분포에 대한 기록문제, 그리고 막새를 편년하는데, 공반유물을 통한 하한연대 설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해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사례분석
1. 경주문화원 내 경주동헌 내아(內衙)
2. 경주객사(慶州客舍)
3. 구강서원(龜岡書院)
4. 서악서원(西岳書院)
5. 옥산서원(玉山書院)
6. 경주향교(慶州鄕校)
7. 장기향교(長鬐鄕校)
Ⅲ. 사례분석 결과
Ⅳ. 막새 수명과 교체주기
Ⅴ. 지붕구조 추정 및 발굴조사 응용 방안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윤성 Yoon-sung Roh.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학예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