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based on Regional Industrial Complexes of South Korea
초록
영어
Employment has become a major concern in recent years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policies to create jobs. Industrial complexes have been the main engine of the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and play a major role in creating jobs based on manufactur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differe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employment of the industrial complex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mployment of industrial complexes with regional and industrial complex characteristics such as population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ccessibility. First, we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determinants of employment in industrial complexes. Second, the industrial park’s employment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in the local governments where industrial complexes are located across the country using the data from the industrial park. Thir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mployment of industrial complexes was found to be positive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number of large enterprises in industrial complexes, the number of transport-related manufacturers such as automobiles and ships, and the production amount. Accessibility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also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한국어
우리나라에서 고용은 최근에 정부가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산업단지는 국가 경제개발의 주요엔진으로 기능하면서 제조업에 기반한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할 때 산업단지가 입지한 165개 기초자치단체에서 고용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다. 본 연구는 기초 지자체에서 산업단지와 관련된 고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산업단지 특성, 인구특성, 지역특성, 접근성 등으로 구분하여 주요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에서 고용의 결정요인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검토한 후 지자체에 입지한 산업단지의 고용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추출했다. 전국의 산업단지가 입지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모형과 단계적 회귀분석모형을 적용해 산업단지 고용과 입지한 지자체의 지역특성 간 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단지의 고용은 산업단지의 대기업 수, 자동차와 선박 등 운송제조 관련 사업체 수, 그리고 수출액 등과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과 수도권 입지도 고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선행연구 검토
2.2. 연구의 차별성
3. 분석자료 설명 및 기초통계분석
3.1. 분석자료 설명
3.2. 기초 통계분석 결과
4. 분석방법 및 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