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 山西省의 小形佛敎石窟에 관한 硏究 - 羊頭山의 북조 석굴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mall Buddhist Caves in Shanxi Province, China - Focused on the Northern Dynasties Caves of the Yangtoushan -

중국 산서성의 소형불교석굴에 관한 연구 - 양두산의 북조 석굴군을 중심으로 -

서남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part of the study on the small Buddhist caves of Shanxi, this paper focuses on the Yangtoushan Caves, which are relatively well preserved. A total number of nine Yangtoushan Caves are currently confirmed. The third through the eighth caves are examples of caves built during the age of the Northern Dynasties. The main caves are considered to be the third and the fifth Caves.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Yangtoushan Caves, and then examined the style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room, the Buddha statue, and the Guardian King statues by comparing with the Shanxi Buddhist statues and the Northern Dynasties. As a result, the Standing Buddha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third cave (in the Yangtoushan Caves) and the Seated Sakyamuni and Prabhutaratna of the fifth cave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around the middle of the Taihe period (the flourishing period of Northern Wei Buddhism), after the Northern Wei built tanyaowuku in Datong around 460 A.D. It is considered that the influences of Yungang Caves in the first half of the Northern Wei are especially rich in the dress code and the composition of the niche for Buddhist image. In addition, the type of the rectangular chamber in the main room, the composition of the Buddha statue triads, and the dress code of the Chinese styl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hird period cave of Yungang Caves in the late Northern Wei period, and the statues of the Longmen and Gongxian Caves, It can be said that the Chinese style policy after Luoyang capital was reflected in Buddhist statues. On the other hand, the Yangtoushan Caves are arranged in pairs on the both sides of the Guardian King statues, except for the 3rd and the 6th caves, which emphasize dynamic and realistic muscle expression. The Guardian King statues were confirmed in Luoyang and its neighboring areas sinc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including the Longmen Caves of the latter days of the Northern Wei, and it was presumed that the Yangtoushan Caves were formed under this new Guardian King statues influence. But also as a demonstration of the transitional development in the Northern Dynasties Guardian King statues. In this paper, it is presumed that this change confirmed in the Guardian King statues of the Yangtoushan Caves positively accommodates the ancestral form of the Longmen Caves and Luoyang caves due to the Luoyang capital of Northern Wei. Located in the southernmost end of Shanxi, the Buddhist sanctuary is where the Qinghua temple of Confucius was erected at the time of the Northern Wei period. It was the place where Huiyuan, a prominent Buddhist priest, stayed and performed Buddhism. In addition, since the histor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aoping and democratization period were examined and the traffic roads of Shanxi province was examined, it was a key point on the north and south highway of Shanxi connecting Datong and Luoyang, Since the year, it has maintained the North style culture rather than accepting the new culture of the north-western period, and it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local indigenous cultures and assumed to have evolved into a "certain local style to the Gaoping." This local color, which is found in the Northern Dynasties Caves of Yangtoushan Caves, again confirmed that it was not the emperor or the nobleman who remained in the cave but a private shrine that was active in the vicinity of the Gaoping. In this way, i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events of transferring the capital to Luoyang Taihe 18(A.D. 494) the Northern Wei through the Yangtoushan Caves, and the phenomenon of the Chineseization of the northern Buddhist statues, I think I can find the meaning of the caves.

한국어

본고에서는 山西의 小形佛敎石窟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 중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羊頭山石窟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羊頭山石窟은 현재 총 9굴이 확인되는데, 북조시기에 조성된 예는 제3~8굴이며, 석굴의 규모나 불상의 구성 등에서 주요 석굴은 제3굴과 제5굴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羊頭山石窟의 현황을 살펴보고, 主室, 如來像, 力士像의 양식과 형식적 특성을 山西지역 불교조상 및 北朝 도상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羊頭山石窟의 제3굴의 주실 입구 좌우에 배치된 여래입상과 제5굴의 이불병좌상감은 北魏가 和平年間(460년경) 大同에 曇曜五窟을 개착한 이래로 北魏 불교의 융성기인 太和中期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불보살의 착의법이나 불감의 구성 등에서 北魏 전반기 雲岡石窟의 영향이 농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羊頭山石窟 중 장방형 主室의 형식, 三尊像의 구성, 여래상의 漢化式 착의법은, 北魏후기의 雲岡의 3기 석굴 및 龍門, 鞏縣石窟 등의 조상과도 공통점이 확인되기 때문에 북위의 낙양천도 이후의 漢化政策이 불교조상에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羊頭山石窟에는 제3, 6굴을 제외한 북조석굴에서 역사상을 주실 좌우에 쌍으로 배치하고, 역동성과 사실적인 근육 표현이 강조되어 있다. 이러한 역사상이 北魏후기의 龍門石窟 등 6세기 중반부터 낙양과 그 인근 지역에서 확인되는 점에서 羊頭山石窟도 이러한 새로운 역사상의 영향 하에서 성립된 것으로 추정했으며, 일부 좌우가 양식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북조시대 역사상의 과도기적인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했다. 본고에서는 羊頭山石窟의 역사상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변화를 北魏의 洛陽遷都로 인한 龍門石窟 및 洛陽 인근 석굴의 조상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산서의 최남단에 위치하는 高平은 북위 孝文帝 시기에 淸化寺가 건립되는 등 일찍이 명승이 모여든 불교 성지로서, 북조만기와 수대에는 저명한 고승인 慧遠이 머물며 수행하던 곳으로 불교가 상당히 융성했던 곳이었다. 또한 高平의 역사 지리적인 특성 및 北朝시대 山西지방의 교통로의 검토를 통해, 羊頭山石窟이 위치한 高平이 北魏 시기에 발달한 大同과 洛陽을 연결하는 山西의 남북 간선로상의 주요 요충지였던 점에서, 北魏 太和年間 이래로 北齊 시기의 新양식을 수용하기보다는 北魏 양식을 고수하는 한편 炎帝 神農氏와 같은 지역 특유의 토속적인 민간문화와 결부되면서, ‘고평인근 특유의 지방 양식’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羊頭山 북조석굴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지방색은 석굴 내에 남아있는 공양자가 황제나 귀족이 아니라 고평 인근에서 활동한 민간의 신도단체였다는 점에서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羊頭山石窟을 통해 북위가 太和18年에 단행한 洛陽遷都라는 역사적인 사건과, 북위불상의 漢化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산서의 교통로를 매개체로 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석굴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山西의 小形 佛敎石窟과 羊頭山石窟에 관한 개요
1. 산서지역의 소형 불교석굴에 관한 개요
2. 羊頭山石窟 現況
Ⅲ. 羊頭山 북조석굴의 특징
Ⅳ. 高平의 역사 지리적인 배경과 羊頭山石窟의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서남영 Seo, Nam-Young.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