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15세기 王室發願 佛敎變相版畵의 제작과 흐름

원문정보

Production and Stream of the Buddhist illustrations Woodblock prints Promot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15th Century

15세기 왕실발원 불교변상판화의 제작과 흐름

김자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odblock prints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of 15th Century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origin of their icons, into those which adopted and transformed icons from the printings of Goryeo and China, and those produced independently by the royal family. And the assumption that the original icons were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production of those woodblock prints involved professional engravers and painters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in the mid-15th century, and that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most actively published inside the royal family during the time. What distinguishes the woodblock prints by the royal family the most from the ones by Buddhist temples is that they involved engravers who were Buddhist laymen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According to the list of producers record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ose Buddhist laymen engravers participated in the engraving of Buddhist scriptures for the royal family starting in the mid-15th century. Besides, the existence of Lee Jang-son, who was a painter and an engraver for the royal family, shows that the painters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participated in both sketches and engravings. It appears that the prints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before the mid-15th century do not have notable difference from the ones produced by Buddhist temples. But overall, they have good, more consistent engraving quality compared to the prints by Buddhist temple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fter the mid-15th century when Buddhist laymen engravers started to participate in the work, the royal family began to produce woodblock prints based on their independently-developed icons, and production of the prints involved not only the engravers but also the painters. And the influences of the Ming Dynasty are confirmed in the prints made by these people. From this period, it can be seen that a new style was accepted in the Buddhist prints of Joseon.

한국어

조선전기 왕실 발원 불교 변상 판화는 도상의 원류에 따라 고려본과 중국본 도상의 受容과 變容, 왕실에서 제작한 독자 판본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 시기 조선의 왕실에서 독자 도상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15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왕실본 판화의 제작에 국가에 소속된 전문적인 刻手와 畫員들이 동참하였고, 이 시기가 왕실 내부에서 간행되는 불전 간행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였다는 사실을 통해 보다 설득력을 얻는다. 조선전기 왕실본 판화의 각수는 국가에 소속된 재가자 각수들이 참여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 사찰본과 가장 구별되는 점으로, 불전에 기록된 제작자 명단을 통해 15세기 중반 경부터 재가자 각수가 왕실본의 판각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왕실의 화원이면서 각수로도 참여한 이장손의 존재를 통해 왕실의 화원이 판화의 밑그림과 판각에 모두 참여했던 사례도 확인된다. 왕실본 변상 판화는 15세기 중반 이전까지는 도상적으로 사찰본과 식별되는 차별성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동시기의 사찰본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고르게 우수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재가자 각수들이 참여하기 시작한 15세기 중반 이후부터는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독자 도상의 왕실본 판화의 개판이 이루어졌으며, 판화의 제작에 국가 소속의 각수뿐만 아니라 화원들도 함께 동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이 제작에 참여한 판화의 곳곳에서 명대 판본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어 이 시기를 기점으로 조선의 불교 판화에 신양식이 받아들여졌음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15세기 왕실본 판화의 제작자
1. 왕실본 변상 판화의 刻手
2. 왕실본 변상 판화의 畵員
Ⅲ. 15세기 왕실본 변상 판화의 흐름
1. 선행 양식의 수용과 변용
2. 신양식의 도입과 도상의 창출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자현 Kim, Ja-Hyun. 울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