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적 예수의 부활에 대한 연구자들의 주장들과 이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Critical Study on the Theses Concerning the Resurrection of the Historical Jesus

최재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does focus on examining the varying opinions on the postmortem state of human beings. Two major contrasting thoughts have prevailed from ancient times to the modern era; one being Annihilationism, the idea believing the perdition of the soul and body at the time of death, and the other being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lthough Christianity does not believe in the absolute immortality of the soul, it does teach the continuation of the soul under God’s permission, and therefore shows similarity to the latter branch of thought.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 examine and criticize the relevancy of the arguments of five scholars who could be said to represent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after identifying their claims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ir points are markedly different when judged by a theological spectrum, as they range from the conservative to the progressive. Their argu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maintains the position that we can study resurrec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while the other group takes the position that we must study resurrection only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while deeming a historical perspective to be impossible. J. Meier argues that the modern person can believe in miracles. Accordingly, he accepts the resurrection of Jesus as a possible fact, but takes a stance claiming that we can not prove it historically. Starting from a similar position to that of Meier, E. P. Sanders argues that Jesus’ movement was continued into the Early Church by his disciples who had been changed by the resurrection of Jesus. N. T. Wright takes the most conservative stance among the five scholars. He affirms that the resurrection of Jesus can be proved historically and objectively. But he seems to concentrate more on delving out the meaning of the resurrection than strengthening the factuality of it. M. Borg affirms that the followers of Jesus, both then and now, continued to experience Jesus as a living spiritual reality, but denies the physical aspect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In other words, the matter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re both affirmed in his argument. But Borg’s this argument goes against that of Apostle Paul, who upholds the physical nature of “the spiritual body”(I Cor. 15:44-46). J. D. Crossan makes a provocative claim that “the Christian faith was not a Easter faith.” But the Scripture immediately denies this kind of an assertion(Rom. 1:4; 6:5; Phil. 3:10-11). Crossan concurs with the opinion that the risen Jesus is “the wisdom of God” that existed with his disciples who sought a world of equal rights, but he never mentions whether this figure is equal to the Holy Spirit. Denying the authenticity of the biblical text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Crossan regards it as a product from the midst of the power struggle to take authority within the Church. However, his interpretation is erroneous in making the Apostle Paul and the authors of the Synoptic Gospel leaders obsessed with solidifying their positions in the church leadership. The difference among these scholars seem to arise from their contrasting views of the world. That is, their differing opinions stem from their differing world views according to their belief in the existence of a transcendental world and a transcendental God and his revelation, in addition to a host of other factors. The Gospels, the Pauline writings and most of the New Testament presuppose the reality beyond this world, which is, in other words, the supernatural world. Accordingly, any explanation or thesis is limited in scope when excluding this world view.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the study on the historic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whether you judge the resurrection text testified by Apostle Paul to be a historically reliable authentic text. Resurrection is entirely the action of God, a supernatural incident raising the crucified Jesus with divine power.

한국어

본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인간의 죽음이후의 상태에 대한 사상을 면밀히 검토하여 완전죽음과 영혼불멸이라는 상반된 입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독교는 영혼불멸은 아니지만 사후 영혼의 존속이라는 점에서 후자와 공통되는 부분이 있음을 밝혔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그러한 사상적 흐름의 맥락에서 오늘날 역사적 예수를 연구하는 대표적인 다섯 학자의 예수 부활에 대한 주장들을 파악한 뒤 그 주장의 적절성 여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런데 이들의 주장은 신학적인 관점으로 볼 때 보수적인 입장에서 매우 진보적인 입장에 이를 정도로 매우 달랐다. 우선 부활을 역사적으로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다는 주장과 그렇게 할 수 없기에 신학적인 측면에서만 연구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대별할 수 있다. 마이어는 부활의 특이성과 사실성은 인정하지만 이를 역사적으로 입증하는 데는 유보적인 입장을 취한다. 샌더스도 그와 비슷한 입장에서 시작하지만 예수의 부활의 사실성을 인정하면서 이 사건이 예수의 제자들을 변화시켜 예수 운동이 원시교회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인정한다. 라이트는 예수의 부활은 역사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장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지만 부활의 사실성 보다는 부활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집중한다. 보그는 부활한 예수가 영적 실재로서 예수의 제자들과 함께 한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면서도 육체적 부활의 측면은 부정한다. 그러나 이는 신령한 몸으로의 부활에 대한 바울의 증언과 반대되는 가현설적인 입장에 빠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고전 15:44-46). 크로산은 기독교 신앙은 부활절신앙이 아니었다는 도발적인 주장을 한다. 그는 부활은 그리스도인들이 역사적 예수의 구현된 삶과 죽음을 계속해서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계속해서 동일한 생활방식의 공동체를 형성해 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크로산은 부활한 예수는 “신적인 지혜”로서 평등한 세상을 추구하는 그의 제자들과 함께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지혜가 영적인 존재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또한 예수의 부활에 대한 성서의 기록의 사실성을 부정하면서 이를 원시교회의 지도자들이 교회내에서의 지위를 확립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산물로 본다. 이는 오직 순수한 마음으로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는 순교를 마다하지 않았던 사도바울과 복음서 기자들을 교회권력에 몰두하는 지도자들로 만드는 잘못된 주장이다. 학자들 간의 이러한 차이는 이들이 견지하고 있는 세계관에서 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초월적 세계와 초월적인 하나님의 존재와 계시의 인정여부에 따라 현격하게 다른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복음서와 바울서신 그리고 신약성서의 대부분의 내용이 초월적 존재와 세계를 상정하고 있기에 이를 배제한 설명이나 주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부활의 역사성의 연구에 있어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예수의 부활의 사실성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사도 바울의 증언을 역사적 진정성이 있는 문헌으로 보는가의 여부이다. 그런 점에서 부활은 하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를 일으키신 초월적인 사건이며 전적인 하나님의 행위라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목차

논문 초록
Ⅰ. 서론
Ⅱ. 본론
A. 죽음이후 영혼의 상태에 대한 주장들
B. 현대 역사적 예수 연구자들의 부활에 대한 주장들
Ⅲ.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재덕 Jae Duk Choi.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