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sumer Type of Insect Food
초록
영어
A worldwide study of insect food is being conducted as a preparation for the food crisis. Korea is also pushing ahead with a national plan to foster the insect industr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market due to the disgust and rejection of consumers, although it allows edible insects as a source of food and seeks to produce and sell various insect foods. In this study, consumers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including their perception of insect food, experience, potential development, and acceptance of various insect food types from a consumer-centered perspective. Then, they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demand for each type of food and mad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hat insect food could be activat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There are four types of insect food consumers. First, the nutrition recognition group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total at 38.8%. They value highly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insect food, but are less willing to eat insect food and more demanding information and safety policies. Second, future receptor groups were willing to accept, but did not show active interest and accounted for 23.0% of the total. Third, the actively accepting group had relatively high experience eating insect food and accounted for 20 percent of the population that was favorable to insect food. Fourth, the non-acceptance group had low potential for development assessment and acceptance at 18.2% of the total, and even if insect food was purchased, it needed importance of the brand, date of manufacture, and reliable elements such as the manufacturer.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each type. The higher the future potential of insect food and the need for quality safety standards based on the non-acceptance group,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the nutritional value recognition group. The more important the environmental contribution aspects and the quality of insect food,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a future receptor group. And if they had experience with insect food, they were more likely to be part of an active receptor group. There was a common demand for home shopping distribution channels in all types. Finally,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policies were needed to supplement safety and specific information on insect food, and the importance of experiencing insect food was identified. In addition, education and promotion are requir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on the importance and need of insect food, and research on consumer acceptance of specific product types needs to be strengthened.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식량안보를 위해 식용 곤충을 활용한 곤충식품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 들의 혐오 및 거부감으로 인해 시장 확대가 원활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중심적 관점에서 곤충식품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곤충식품 발전 가능성 및 곤충식품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인식, 수용 가능한 곤충식품 형태, 곤충식품 구매시 주요 정보나 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 곤충식품 섭취 경험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소비자를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영양학 적 가치 인정 집단으로 38.8%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들은 곤충식품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이성적으 로 높게 평가하나 곤충식품의 섭취 의향은 높지 않았고, 정보 및 안전 정책에 대한 요구가 컸다. 두 번째 유형은 향후 수용집단으로 향후 막연히 수용 의사가 있다고 밝히지만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의 23.0% 를 차지하였다. 세 번째 집단은 적극 수용 집단으로 곤충식품 섭취 경험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곤충식품에 호 의적인 집단으로 20%를 차지하였다. 마지막 집단은 비수용 집단으로 전체의 18.2%이며 곤충식품의 발전가능성 도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만약 곤충식품을 구매하는 경우라고 해도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이나 제조일 및 제조사 등 신뢰할 수 있을 요소를 필요로 하였다. 각 유형 구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기 위한 다항로 짓분석 결과, 비수용 집단을 기준으로 영양학적 가치 인정 집단의 경우 곤충식품의 미래 가능성 및 품질 안전 기 준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향후 수용 집단의 경우 환경기여 측면 및 곤충식품의 품질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적극 수용집단의 경우 미래 가능성 인식 및 곤충식품 경험이 있는 경우일수록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뿐만 아니라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홈쇼핑 유통 채널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결국 소비자 관점에서 곤충 식품에 대한 안전한 품질과 구체적 정보에 대한 정책보완이 필요하며 곤충식품에 대한 체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 다. 그리고 곤충식품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교육 및 홍보가 요구되며 구체적인 상품 형 태의 소비자 수용도 관점의 연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의 고찰
1. 우리나라 곤충 산업의 현황
2. 곤충식품의 개념 및 우리나라 곤충식품 현황
3. 곤충식품 수용 관련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문제 및 조사도구의 구성
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Ⅳ. 연구결과
1. 곤충식품 섭취 관련 주요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확인
2. 곤충식품에 대한 태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