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령자가구의 소득구성이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n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신세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5권 1호 2019.03 pp.129-155

doi:10.15790/cope.2019.15.1.12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n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economic difficulty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KHPS) data in 2015, the elderly households are classified into one of the five groups (labor income, pension income, asset income, private transfer income, or social security) based on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income through K-means clustering.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effect of the major income source on unmet healthcare needs is estimated, after controlling for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care needs. The prevalence rates of unmet healthcare needs are 10.9% for hospital care/doctor consultations, 24.6% for dental care, and 27.4% in total. The main source of household income is heavi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rates of unmet healthcare needs. Compared to the pension income households, the labor income households are 1.8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Also, the private transfer income households and the social security households are 1.5 times and 2.2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respectively. Other factors influ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are the level of education, household income, living with children, homeownership, and the types of health insur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가구에서 주된 소득원의 차이가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2015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 하여 고령자가구를 주 소득원에 따라 다섯 집단으로 유형화하고, 각 집단 간 미충족의료 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소득원별로 가구를 유형화한 결과, 근로소득형 가구가 전체가구의 41.8%로 가장 많았으 며, 다음으로 사적이전소득형 가구 26.9%, 연금소득형 가구 13.5%, 사회보장급여형 가구 12.3%, 자산소득형 가구 5.5% 순이었다. 고령자가구 전체에서 경제적 이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한 비율은 병의원진료와 치과진료를 합하여 27.4%였는데, 가구유형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연금소득형과 자산소득형 가구가 16%가량으로 가장 낮 았으며, 근로소득형과 사적이전소득형 가구가 각 27%가량, 사회보장급여형 가구가 45%로 가장 높았다. 근로소 득형 가구는 연금소득형과 자산소득형 가구와 비슷한 수준의 가구총소득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미충족의료 경험 률은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소득수준을 포함한 기타 영향요인을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금소득형 가 구에 비해 근로소득형 가구가 경제적 이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은 1.8배, 사적이전소득형 가구가 1.5배, 그리고 사회보장급여형 가구가 2.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져 온 고령자가구의 소 득원천과 삶의 질 관련 논의를 미충족의료 관련 영역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미충족의료
2. 고령자가구의 소득원
Ⅲ.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가구의 특성
2. 가구유형별 미충족의료 경험률 비교
3.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군집 수 변화에 따른 K-평균 군집분석 결과 비교
Abstract

저자정보

  • 신세라 Shin, Serah.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