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 금속활자에 대한 중국과 북한학자들의 최근 연구 동향

원문정보

The Present Research Trends of Chinese and North Korean Scholars about Goryeo Metal Types

南權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present current research directions of Chinese academic circles regarding the 97 pieces of recently discovered Goryeo metal type, Jeungdoga type and rectify their misunderstood points. For nearly a decade long, a myriad researches and ideas about Goryeo metal types, including Jeungdoga type, had already been thoroughly discussed in Korea. Moreover, the additional five pieces of unearthed types from Manwolde, Gaeseong, North Korea raised urgent needs of further researches on the overall types, including scattered pieces throughout regions. In addition, since February of 2018, China has released authentication documents about 97 pieces in national scale, recognized by various fields of experts, such as metal, calligraphy, printing and publication and numismatology. Despite the types’ clear identical features to the ones discovered in North Korea, China is in process of changing the types’ origins to their own. Hence, this research reviewed many aspects and ideas of Chinese scholars in terms of authentication, numbers, shapes, features and grounds. Furthermore,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 the types with Korean types which had already been comprehensively studied, to prove their true Korean origins.

한국어

이 연구는 고려 금속활자인 증도가자와 관련하여 최근 중국에서 발표한 나진옥 구장의 금속활자 97점과의 관련성을 밝히고 이와 더불어 중국의 관련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술 동향을 소개하고 그 문제점을 들어내 고 오류를 바로 잡고자 하였다. 증도가자가 발표된 지 10년이 되어가면서 이미 2015년에 북한의 개성 만월대에서도 실물활자 5점의 발견이 있었고 그밖에 추가적인 연구와 그 동안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활자 전체에 대한 종합적 검토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2018년 2월부터 중국에서는 중국에 소재된 고려 금속활자인 증도가자 포함된 97점에 대하여 중국의 관련 분야 즉 금속, 서예, 인쇄출판, 화폐 등의 영역에서 국가차원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검토한 후 중국의 송, 원대의 활자라는 감정의견서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국 측 주장의 오류를 바르게 하고 이러한 문제가 제기되는 데 일조한 한국의 관련 분야 연구의 반성을 함께 하고자 하였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중국 북경 소재의 금속활자 97점
3. 대상 활자에 대한 중국 학계의 입장
3.1 전래에 대한 증거
3.2 감정 의견서
4. 활자의 형태와 주조법으로 본 97점 고려활자의 특징
4.1 상하면 구멍 터널형 활자
4.2 터널형 활자
4.3 네다리형 활자
4.4 날개/홈형 활자
4.5 홈형 활자
4.6 가지쇠 부착 활자
5. 북한 개성 만월대 발굴의 활자 5점
6. 증도가자 검증의 문제
7.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중국 소재 활자목록과 한국소재 활자 중 동일자 비교

저자정보

  • 南權熙 남권희.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