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과도한 인터넷 사용과 혐오표현 가해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xcessive Internet Usage and Offend of Hate Speech

조제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Hate speech is used not only for social minorities and the weak, but also for the loathing of certain groups and peopl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mergence of disgusting expressions began with the fact that a community site formed on-line played a role in the concentration of individuals with a certain tendenc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wear words or profanity which are used in the characteristic community site include dislike. The disgusting expressions used only on-line are also used offline, which is a social issue that can lead to physical fric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is how to express and limit the degree of individual acceptance of the expression of disgust. However, this is a discussion on the idea of disgusting expression and the judgment criteria of the individual who uses it, and I think there is enough room for explaining another cause for the fact that the Hate Speech is actively used online and used offlin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basic assumption that the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acts as a cause of experiencing the expression of disgust, and eventually it will be transformed into a perpetrator. As a step toward achieving the goal of this study, we first ascertain whether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affects the experience of Hate speech. Second, I sought to make sure that the percep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which has been crucially discussed in expressing disgust until now,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ird, I want to analyze this part because I want to confirm whether offline abomination expression is going to be done until the offense of offline abomination expression occurs. As a result of analysis, excessive internet use was the cause of increasing frequency of disgusting experience. Also, as the experience of disgusting expression increased, experience of online abomination was in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offline abhorrence was increased by this route. Especial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 experience of the abomination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are not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the offline abomination expression affects, and it is confirmed that it influences through the online Hate Speech experience.

한국어

최근, 혐오표현은 사회적 소수자 혹은 약자에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특정 단체 및 대상에 대한 혐오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혐오표현의 등장은 사실상 온라인에서 형성된 커 뮤니티 사이트가 특정 성향의 개인이 집중될 수 있는 역할을 해줌으로써 시작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특성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은어 혹은 비속어 등이 혐오 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에서만 사용되던 혐오표현들은 오 프라인에서도 사용됨에 따라 물리적 마찰로 이어질 수 있는 사회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다. 혐오표현에 대한 개인의 수용정도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고 또 제한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로 가장 중요한 것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 나 혐오표현에 대한 생각과 사용하는 개인의 판단 기준에 대한 논의이며, 실제로 혐오표현이 온라인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오프라인에서도 사용되는 오늘날 실태에 대해서는 또 다른 원인 에 대해 탐색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도한 인터넷 사용이 혐 오표현을 경험하게 되는 원인으로서 작용하고, 결국 가해자로 변질, 동참할 것이라는 기본적 인 가정을 두고 분석을 실시했다. 이 연구의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로 첫째, 과도한 인터넷 사 용이 혐오표현을 경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 둘째, 핵심적으로 지금까지 혐오표 현에 중요하게 논의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이 정말 중요한 요인인지 확인하고자 했다. 셋 째, 오프라인 혐오표현 가해가 발생되기까지 반드시 온라인 혐오표현 가해를 거치는지에 대 해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과도한 인터넷 사용은 혐오표현경험빈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었다. 또한 혐오 표현경험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혐오가해경험이 높아지며, 이 경로를 통해 오프라인 혐오가해 경험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오프라인 혐오표현 가해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혐오표현경험과 표현의 자유보장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온라인 혐 오표현 가해 경험을 거치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제성 Cho Je Seong. 동국대학교(서울) 법공학연구센터(JCRC)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