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역』에 나타난 우환의식의 철학치료적 가능성

원문정보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therapy of the Uhwan-Uisick shown in the Juyeok(The Book of Changes)

석영진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86집 2019.03 pp.157-17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unique idea of the Orient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Juyeok(The Book of Changes). U-Hwan is in a state of worry in his mind. Humans in such a situation can not properly perceive or judge the surroundings. On the contrary, Uhwan-Uisick(우환 의식consciousness of anxiety) is conscious awareness and act to actively improve suffering and trouble. This Uhwan-Uisick begins with the awareness of human subjectivity. Thi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Juyeok(The Book of Changes). In the past, when the U-Hwan came, I focused more on trying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in the sky. However, the "protagonist" refers to how individuals should behave in order to cope when they face their own U-Hwan. In Juyeok(The Book of Changes), the way of overcoming the U-Hwan is the Gyeshingonggu(계신공구) and the Mugu(무구). This is to be avoided and afraid. I also always look back and reflect on my actions. Here, the philosophical therapeutic factor of the Uhwan-Uisick is revealed. It can be perceived as a situation of change that can be improved by his actions, rather than accepting passively as a given result. Then you can have a willingness to actively improve the situation without being overwhelmed by the given situation. It is possible to live self-subjective life. This can be related to philosophical treatment.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주역』을 중심으로 우환의식이라는 동양의 독특한 사고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흔히 우환과 우환의식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 그러나 우환은 마음 안에 걱정이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놓여 있는 인간은 제대로 주변을 인식하거나 판단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우환의식은 고난이나 곤경에 처한 인간의 심리상태인 우환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의식적 깨달음이자 행위이다. 따라서 우환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우환의식을 가지면 현재의 상황을 개선시키고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우환의식은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자기 상황에 대한 책임 및 결정을 외재의 신에게 맡기는 것 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위의 결과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태도이다. 이러한 우환의식이 『주역』의 발생배경이 되었다. 은말주초에 제작된 『주역』은 믿음의 대상이 ‘신’에서 점점 인간 행위에 대한 노력과 결과로 바뀌어가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등장했다. 이런 변화는 인간의 주체성이 도덕적 책임의식으로 나아가는 발로가 되었다. 기존의 사고라면 우환이 닥쳤을 때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그 뜻을 알아내려는 것에 더 중점을 두었는데 반해, 『주역󰡕에 서는 하늘의 뜻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개인이 스스로 우환에 당면했을 때 극복하기 위해 어떻 게 행동해야하는가에 역점을 두고 있다. 『주역』에서 우환을 극복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그것은 계신공구와 무구이다. 삼가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고 항상 나의 행동을 돌아보고 반성 하는 태도이다. 여기에서 우환의식의 철학치료적 요소가 드러난다. 우리는 길흉화복을 주어진 결과로서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위에 의해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는 변 화의 상황으로 인식하게 되면 더 이상 주어진 상황에 휘둘리지 않고 상황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려는 의지를 가질 수 있다. 바로 자기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우환의식을 통한 삶의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태도가 철학치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1. 문제제기
2. 우환과 우환의식의 차이
3. 『주역』에서 우환의식의 출현
4.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우환의식
1) 계신공구(戒愼恐懼)
2) 무구(无咎)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석영진 Seok Young Jin. 경북대학교 철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