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ID 시설의 지속가능성 관리인자 도출 및 시민참여 관리방안

원문정보

Derivation of Sustainability Factors of LID Facility and Strategy of Citizen Participation for Management

김영만, 김이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ID(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y classifi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can maintain landscape sustainability and functional sustainability through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Since LID is a natural-based solution, the sustain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the management of weeds, wastes and vegetation. The LID facility is distributed in the city and is an infrastructure that can be managed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because of simple mainten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tenance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LID facilities and to suggest measures for maintenance by investig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s. The factors for landscape sustainability were derived to waste and weed management. Also the factors for functional sustainability were assessed to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ead bodies and selection of applicable soil and plant species. The citizens showed high agreement of more than 80% in the questionnaires on expanding and managing LID facilities, enacting LID ordinances, and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movemen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D management linked to jobs was about 64%, indicating that LID could become a job for the vulnerable. Maintenance of the LID can easily be carried out by non-specialists, which can lead to citizen participation with low cost for each facility. The maintenance cost for citizen participation can be allocated from the social infrastructure management cost reduced by LID appli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the central government.

한국어

사회인프라 시설로 분류되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은 지속적 유지 및 관리를 통하여 경관지속성과 기능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LID 기법은 자연기반해법이기에 잡초, 폐기물 및 식생관리를 통하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LID 시설은 도시에 분산적으로 설치되며 유지관리가 단순하기에 시민들의 참여를 통한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ID 시설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LID 시설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유지관리 인자를 도출하고 시민들의 참여도를 조사함으로써 유지관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LID 시설의 경관지속성은 폐기물, 잡초관리가 중요한 인자로 도출되었으며, 기능지속성은 고사체 원인규명 및 관리와 적용토양과 식물종 선정이 중요한 인자로 도출되었다. 시민들은 LID 시설의 확대 및 관리, 조례제정 및 범국민 운동 참여 등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모두 80% 이상의 높은 동의를 보였다. 일자리와 연계된 LID 관리 참여의향은 약 64%로 나타나 LID가 취약계층의 일자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LID의 유지관리는 비전문가도 쉽게 수행할 수 있기에 시설별 적은 비용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시민들이 참여하는 유지관리 비용은 지자체의 LID 적용을 통해 저감된 사회인프라 관리비용과 정부의 사회복지 예산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LID의 경관지속성 위한 잡초 및 폐기물 관리
3.2 LID의 기능지속성 위한 식물 선정·관리
3.3 LID의 기능지속성 위한 시설의 보수·보강
3.4 LID 시설 유지관리 참여에 대한 시민의식 평가
3.5 시민참여 LID 구축방안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만 Youngman Kim.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이형 Lee-hyung Kim.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