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Animosity, Image of Japan Country and It's Consequences on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nimosity of Korean college students toward a Japan country, overall nation image, dimensions of nation image and the outcome factors. Dimensions of the nation image consisted of people, products/enterprises, places, cultures, and governments of a specific country, and as consequences of the nation image,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 intentions to travel and intentions to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Target country of the study is Japan, which has negative emotions with Korea in historical and economic level, and data were collected on Korean college students who will lead the global market in the future with few direct relations with historical ev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nimosity of Korean college students to Japan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overall nation imag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lation to each dimension of nation image. Also, it was found that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nimosity and consequences of nation image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 only,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did not affect intentions to travel and intentions to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strategy of national brand management but also to the utilization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lead the global competitive market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it will have a great help for Japan to consider improvement plan of a nation image from their point of view.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전반적인 국가이미지와 국가이미지의 구 성요인들 그리고 결과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국가이미지의 구성요인은 특정 국가 의 사람, 제품/기업, 장소, 문화, 정부로 설정하였으며, 국가이미지의 결과요인은 일본산 제품의 구매 의도, 여행의도, 관계형성의도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대상 국가는 우리나라와 역사적, 경제적 차원에 서 부정적 감정을 갖고 있는 일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역사적 사건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적으면 서 향후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일본에 대한 전반적인 국가이미지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국가이미지의 각 차원들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적개심 과 국가이미지 결과요인들 간의 직접적인 관계에서는 제품구매의도에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여행의도와 관계형성의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가브랜드 관리 측면에서 세부적인 방향 설정뿐만 아니라 향후 글로벌 경 쟁 시장을 주도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일본의 관점에서는 국가이미지 향상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데 시사점이 클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적개심
2. 국가이미지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3.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Ⅲ. 실증연구
1. 변수의 측정
2. 자료의 수집
3. 표본의 특성
4.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도 검정결과
5. 가설검정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참고문헌
- 1범경기 (2010).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중국 국가이미지 변화: 한국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22(3), 297-313.
- 2안종석 (2014). “중국 소비자의 적대감이 국가이미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연구, 25(2), 57-86.
- 3이정열 (2013). “소비자 적개심과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비교연구,” 국제경영리뷰, 19(3), 105-124.
- 4Anholt-GMI (2005). Nation Brand Index-Second Quarter. Integrated Solutions for Market Research.
- 5Country-of-Origi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네이버 원문 이동
- 6Bradley, F. (2001), “Country-Company Interaction Effects and Supplier Performances among Industrial Buyer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0, 511-524.
- 7How Consumer Ethnocentrism and Animosity Impair the Economic Recovery of Emerging Markets네이버 원문 이동
- 8The fallout from French nuclear testing in the South Pacific:A longitudinal study of consumer boycotts네이버 원문 이동
- 9Branding the nation: What is being branded?네이버 원문 이동
- 10Branding the nation: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네이버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