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브랜드 디자인 프로젝트 기획 연구 - 성수 소셜패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Local Brand Design Planning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Sung-Su Social Fashion Project -

이경재, 김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purports to set design methodology stand ard for planning social fashion brand with local resources and players, and to test pilot projects where local design embraces local identity and sustainable business model is enabled, so as to suggest potentials of urban regeneration by fashion industry. Research was conducted in associati on with ‘Seongsu Social Fashion Project’. We studied ur ban regeneration cases utilizing fashion industry infra an d current situation, resources of local fashion industry. W e planned three pilot projects through administrator-local business-expert cooperation. Design planning, project pro gress, execution results were summarized to develop loca l brands. In three projects, local stakeholder’s issues were resolved through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and syner gy of regeneration resulted. ‘Local“ products were sold b y 200% of target. ‘Society’ seeking long-term solutions fo r local issues received fervent responses from merchants. ‘Public’, a public campaign, strengthened sense sovereign ty. Co-branding brought synergy effect in local projects. Regeneration, not development, requires significant time and efforts. Firm volition and continued efforts of admini strator, local business, and expert are necessary for local brands to nestle. We hope, expect that urban regeneratio n settle down in Korea over the long run.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특구 사업인 ‘성수 소셜패션 프로젝트’의 2차년도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지역 자원 과 주체 중심의 소셜패션 브랜딩 시범사업으로 패션 산업을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패 션산업 인프라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를 조사하고 성동구의 패션 산업 현황과 자원을 조사하였다. 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 해 행정-지역-전문가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세 가지 프로젝 트를 기획하였다. 지역 이해관계자간의 협동과 협업이 상호 보완적 시스템이 되어 재생의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프로젝 트 별 디자인기획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전략을 세웠다. 디자인 기획, 진행 과정, 실행 사례, 결과를 정리함으로서 소셜패 션 브랜딩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지역자원과 주체가 중심이 되는 ‘로컬‘, 지역의 사회적 이슈를 패 션산업과 연계하여 중장기적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소사이어 티’,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공공 캠페인인 ‘퍼블릭’을 통 해 지역 참여자의 주체의식을 높인 공동 브랜딩을 진행 하였 다. ‘로컬’을 통해 개발 된 제품은 판매목표 200%를 달성하였고, ‘소사이어티’는 전통시장 상인의 높은 호응을 이끌었으며 결과물은 공동 브랜드의 자산이 되었다. 지역 내 공공 프로젝 트에 주민이 직접 참여한 ‘퍼블릭’은 주체의식을 강화하는 계 기가 되었다. 주민이 주체가 되는 자생력 있는 지역 브랜드가 지역 역사와 현황이 존중된 도시재생의 마중물 역할을 하기 까지 행정-지역-전문가의 진정성 있는 의지와 노력이 지속 될 필요성이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용어의 정의
2. 이론적 배경
2.1. 지역 패션 제조업의 현황
2.2. 지방정부의 도시 재생 사업 현황
2.3. 패션산업을 통한 도시재생 사례
3. 지역브랜드 디자인 기획
3.1. 성동지역 패션 산업의 역사와 자원
3.2. 지역 브랜드 디자인 기획 요소
3.3. 지역자원을 활용한 브랜드 디자인 실행전략
4. 성수 소셜패션 프로젝트
4.1. 로컬-잉여원단을 활용한 제품 디자인
4.2. 소사이어티-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유니폼디자인
4.3. 퍼블릭-업싸이클 기념품 디자인
4.4. 프로젝트 아이덴티티 디자인
4.5.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지역브랜드 마케팅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경재 Lee Kyoung Je. ㈜대지를위한바느질
  • 김일 Kim Il.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