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년층 경제활동참여 특성과 유형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Workers and Its Classification

오민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and to classify them based on their career path. The classification of the elderly would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aging society. As well known, aging society has been pointed as main causes of the labor shortage and skill depletion. Therefore, searching for the marginal group out of any elderly labor force who could enter or reenter the labor market would give us an blue print to establish both efficient and effective labor policies. If there is ex ante concern on finding the policy target, the public employment service targeting all of the elder workers would cause serious inefficiency of government budget and no one could as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to the labor market. For this analysis, we made us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llected by the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utilize logistic model, event sequential analysis and some panel models. It is found that the elderly with higher education tend to have higher probability to retire the labor market earlier compared to the less educated. This result seems that the high educated groups could accumulate their wage premium in the labor market. From the event sequential analysis, we classify the elderly by four groups: group with staying in the labor market permanently, groups that reenter the labor market, retired group and non-labor force. Among these group, policy target could be the group that reenter the labor market and (seemingly) retired group. In the case of groups that reentered the labor market, the government would stimulate them to have a job faster and to match with more decent jobs. It is because better job matching would lead the elderly workers to longer contract with their employers. Furthermore, the government need to establish better policy measures for the retired group who might come back to the labor market for the expended life span. As population is aging, the government could not ignore the depletion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In this case, letting the elderly workers who has willingness to support themselves could be a reliable option to save the public pension system and future government budge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장년층 경제활동 특성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 이들 장년층의 경력 경로를 유형화하는데 있다. 경력경로를 활용한 장년층 유형화는 인구고령화 시대를 맞아 장년층 고용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을 활용 하였으며, 장년층 경제활동참가 결정요인을 위해서는 로지스틱 모형, 장년층 경력 경 로 유형분류를 위해서는 사건계열분석 모형을 활용하였다. 이에 더해 사건계열분석을 토대로 재취업형과 은퇴형으로 분류된 집단을 활용하여 고정효과와 임의효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장년층 경제활동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고학력자가 저학력자에 비해 비경활화 경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학력자의 경우 학력프리미엄 축적을 통 해 은퇴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년층을 경력 경로를 이용하여 유형 화한 결과 계속 취업형, 재취업형, 은퇴형, 계속 비경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들 네 개 집단 중 정책적 한계집단은 재취업형과 은퇴형으로 평가되는 데, 특히 재취업형의 경우에는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보다 나은 일자리로의 이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임시 혹은 일용직으로 이행한 후 기대 수준에 맞이 않아 비경활화하 는 은퇴형에 대해서도 적절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장년층 경제활동참가 결정요인
III. 장년층 경력 경로 유형
1.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2. 경력 경로 유형화
3. 구직지원 한계집단 분석
I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민홍 Min-Hong Oh.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