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 유형화 및 미용스타일 분석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 according to imag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analyze beauty, style, and imag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 type. The study data can be used to inform fashion and beauty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silver generation women's representative style, which is emerging as a new consumer segment. Methods: 50 images of silver age female celebrities who ranged from 55 to 65 years of age. A total of 20 adjective pairs were extracted with reference to a previous study of image evaluation using a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rating of female celebrities according to the adjectives was ‘like–dislik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1, 2018, to June 15, 2018.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factors constituting images of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affinity, attractiveness, activity, and individuality—and accounted for 65.28% of the total variance. Second, the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 were placed into one of five groups named ‘soft style’, ‘calm style’, ‘conservative style’, ‘refined style’, and ‘social styl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age difference according to type, ‘soft style’ had the highest affinity, ‘calm style’ and ‘refined style’ were rated as more attractive, and ‘sociable style’ had the highest activity and individuality rating. Fourth, the images of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 deemed the most attractive and unique by those in their twenties were those of Hwa Jung Choi and Mi Sook Kim.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the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y image was the affinity factor,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pursuit of style presentation and image implementation with reference to communitydefined characteristics of beauty and style.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a friendly image was characterized by a ‘soft style’; an attractive image by the external features of a ‘calm style’ and/or ‘refined style’; and an active image with individuality was characterized by a ‘social style’.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을 대상으로 젊은 세대가 느끼는 이미지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미용스타일과 이미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버세대의 대표적인 스타일을 구분함으로써 실버세 대 여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패션과 미용 상품 개발 및 이미지메이킹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실버세대 여성유 명인을 55세 이상 65세 이하를 대상으로 50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미지 평가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로 총 20개의 형용사쌍을 추 출하였고 7점 의미미분척도로 구성하였다. 여성유명인의 선호도 평가는 '좋아하는-좋아하지 않는' 문항을 사용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 구성요인은 친 화성, 매력성, 활동성, 개성의 4개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65.28%를 차지하였다. 둘째,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군집은 5개로 나타났으며 '부드러운 스타일', '차분한 스타일', '보수적인 스타일', '세련된 스타일', '사교적인 스타일'로 명명하였다. 셋째, 실 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유형에 따른 이미지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드러운 스타일'은 가장 친화성이 높았으며 '차분한 스타일'과 '세련 된 스타일'은 매력성이 두드러지고 '사교적인 스타일'은 활동성과 개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넷째, 20대가 선호하는 실버세대 여 성유명인의 순위를 알아본 결과, 최하정, 김미숙 순으로 이들의 이미지는 매력적이고 개성이 두드러졌으며 선호도가 낮은 유명인은 김부선, 추미애 등으로 이들은 친화성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는 가장 중요한 차원으로 친화성 요인 임을 알 수 있으며, 군집에 따른 미용스타일의 분석된 특징을 참고하여, 추구하는 스타일 연출 및 이미지 구현에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친화적인 이미지로 평가 받고자 할 경우에는 '부드러운 스타일'로 연출하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한다면 '차 분한 스타일'과 '세련된 스타일'의 외형적 특징을 참고로 연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활동적이며 개성이 뚜렷한 이미지를 고려한다면 '사교적인 스타일'로 연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중국어
目的: 根据年轻一代的形象对银发一族女性名人进行分类,以便根据世代类型分析美容,风格和形象差异。该 研究数据可用于通过提高我们对银代女性代表风格的理解来为时尚和美容产品的发展提供信息,该风格正在成 为新的消费群体。方法: 选定银发一族年龄从55岁到65岁之间的女性名人的50张照片。为评价形象参考先行研 究提取20个形容词对,并由7点语义差分异量表组成。女性名人的偏好评价为‘喜欢-不喜欢’。数据收集于2018 年6月1日至2018年6月15日进行。结果: 该研究的结果总结如下。首先,有四个因素构成银代女性名人的形象 - 亲和力,吸引力,活动和个性-占总变异的65.28%。其次,银代女性名人被分为五个群体之一,分别名为‘软风 格’,‘冷静风格’,‘保守风格’,‘精致风格’,‘社会风格’。第三,由于审查了 根据类型的图像差异,“柔和风格” 具有最高的亲和力,‘冷静风格’和‘精致风格’被评为更具吸引力,‘社交风格’具有最高的活动性和个性评级。 第 四,被二十几岁的人认为最具吸引力和独特的银代女性名人的形象是崔华贞和金美淑的形象。结论: 银发一族 女性名人形象最重要的维度是亲和力因素,可以应用于追求风格呈现和图像实现,参照社区定义的美和风格特 征。因此,这项研究发现友好形象的特点是‘柔和的风格’; 具有‘平静风格’和或‘精致风格’的外在特征的迷人形象; 具有个性的积极形象以‘社会风格’为特征。
목차
Introduction
Methods
1. 자극물의 구성
2. 자극물에 대한 이미지평가
3. 자료 분석방법
4. 연구문제
Results and Discussion
1.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 구성요인
2.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에 따른 유형화 및 미용스타일 분석
3. 실버세대 여성유명인 유형에 따른 이미지 차이
4. 실버세대 여성 유명인의 선호도 및 이미지 순위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