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golf stress, and resilience in golf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82 golf participants who were collected in the golf driving range of four regions by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s a survey tool, the existing questionnair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gol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fully informed about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ir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administrated metho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0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ask orienta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golf stress and self-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olf stress. Second, although the task propens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the self propens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Third, golf stres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한국어
이 연구는 골프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골프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4개 지역의 골프 연습장에서 유층집락표집법으로 수집된 482명의 골프참여자이다. 조사도구로는 기존 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인 골프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 하여 동의를 구한 후 설문의 응답은 자기평가기입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이에,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성향은 골프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자기성향은 골프 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과제성향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자기성향은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골프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정규성 검증
2. 상관관계 분석
3. 측정모형 검증
4. 구조모형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