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노인의 균형자신감과 골밀도 및 근감소증 지표와의 연관성

원문정보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Sarcopenia Component with Balance Confidence in Elderly

우상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sarcopenia component with balance confidence in elderly. Method: This was a cross sectional study involving 308 (men: 67, women: 241) elderly. Korean version of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was used to assess balance confidence. BMD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Measured sarcopenia components includ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SM) index, hand grip strength (HGS), gait speed (GS). Results: Balance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tal BMD (R=.278, P<.001), lumbar BMD (R=.157, P=.008), femur neck BMD (R=.383, P<.001), ASM index (R=.242, P<.001), HGS (R=.399, P<.001), and GS (R=.490, P<.001).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S, HGS, and femur neck BMD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balance confidence.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promotion of resistance exercise and weight-bearing exercise should be incorporated in interventions against balance confidence with normal aging.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의 균형자신감과 골밀도 및 근감소증 지표와의 연관성을 검증하고, 추가적으로 균형자신감에 대 한 세부적인 독립예측변인을 파악하는 것에 주요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60세 이상 노인 308명(남: 67명, 여: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균형자신감은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ray 방사선 흡수법 원리를 이용하여 요추, 대퇴 경부, 전신을 측정하였으며, 근감소증 지표는 악력, 보행속도, 사지근율비율 지수를 포함하였다. 균형자신감은 전신 골밀도(R=.278, P<.001), 요추 골밀도 (R=.157, P=.008), 대퇴 경부 골밀도(R=.383, P<.001), 보행속도(R=.490, P<.001), 악력(R=.399, P<.001), 사 지근육비율 지수(R=.242,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균형자신감에 대한 독립예측인자 는 보행속도(β=.338, P<.001), 악력(β=.202, P=.009), 대퇴 경부 골밀도(β=.202, P=.018)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균형자신감에 있어서 보행속도, 악력, 대퇴 경부 골밀도는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노년기 규칙적인 걷기 운동, 체중부하를 통한 근력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균형자신감 증진과 더불어 낙상예방에 적절한 대응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항목
3. 자료처리
Ⅲ. 결과
1. 균형자신감과 신체구성 및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2. 균형자신감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
3. 균형자신감과 근감소증 지표와의 상관관계
4. 균형자신감에 대한 독립예측변인 도출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우상구 Sang-Koo Woo. 안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