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격강점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n Society : Character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김은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aptation factor to North Korean refugee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ffecting adaptation pro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PWB) in South Korea.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WB and character strength of 117 participants and identified the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that affect the settlement period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Model 1 of Process Macro and SPSS 2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PWB and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such as wisdom, humanity, courage, justice, temperance, and spirituality. The main effect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WB and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by independent variables. The level of PWB increased with the level of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The moderate effect was showed in the courage of the settling period in relation to PWB.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남한에서의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을 확인하여 북한 이탈주민의 적응을 돕는데 있다. 117명의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과 성격강점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남한에서의 정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의 하위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의 Model 1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 인간애, 용기, 정의, 절제, 영성 간에는 상관이 있었으며,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본 바,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성격강점 의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성격강점의 하위요소중 용기가 심리적 안녕감 과의 관계에서 정착기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논문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서론
2. 연구방법론
2.1 연구참여자
2.2 측정도구
3. 연구 결과
3.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3.2 강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정착기간의 조절효과
4.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은미 Eun-Mi Kim. 건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