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속가능성 소양을 신장하는 과정드라마(process drama) 개발 및 효과 검증

원문정보

Promoting Sustainability Literacy through Process Drama

양새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process drama is used as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sustainability literacy and to prove the effects of the drama program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ction research.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sustainability issues as the theme of the drama,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2015 Social Studies Revised Curriculum and sustainability literacy questionnaire were referenced. The researcher selected one class of 6th grade as a homeroom teacher and conducted drama program for 6 times. Vario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gathered and arranged for the credibility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program execu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ram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Students experienced a total of 6th process drama and their sustainability literacy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creased as they learned about sustainability issues such as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poverty and hunger, cultur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quality education, economic growth and appropriate jobs, and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 process drama for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sustainability issues that cause changes and reflection on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and present them in various viewpoints and dramatic expressions should be selected. Second, the process drama developed to promote sustainability literacy shapes the knowledge needed for sustainability literacy, activates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lues and attitudes toward practice. Through this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this study has the effect of exploring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drama of the subject on the theme of sustainability literacy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 and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literacy through i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할 효과적인 수단으로 과정드라마를 제안하고 초등학생의 지속 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의 효과를 실행 연구를 통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과정드라마의 주제로 적합한 지속가능성 쟁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2015 사회과 개정 교육 과정 및 지속가능성 소양 설문지 결과를 참고하였다. 연구자는 담임교사로 지도하는 6학년 한 개 학급 을 선정하여 총 6차에 걸쳐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질적,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과정드라마는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총 6차 과정드라마를 체험하며 참여자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빈곤과 기아, 문화적 차별과 편견 해소, 양질의 교육, 경제성장과 적절한 일자리, 기후 변화의 심각성이라는 지속가능성 쟁점에 관한 지식, 기 능, 가치 및 태도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하기 위한 과정드라마를 구 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참여자 견해에 변화와 반성을 일으키는 지속가능성 쟁점을 선정하여 이를 다양한 관점과 드라마적 표현 방식으로 제시한다. 둘째,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해 개발한 과정드 라마는 지속가능성 소양에 필요한 지식을 구체화하고 의사소통과 연대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며 실천 으로 나아가는 가치와 태도를 다지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하였던 지속가능성 소양을 주제로 과정드라마 구성 방법을 탐색하고 그를 통한 지속가능 성 소양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속가능성 소양의 의미와 구성 요소
2. 과정드라마의 개념과 구성 절차
3.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 방법으로서의 과정드라마
Ⅲ. 연구 방법
1. 실행 연구의 접근법
2. 연구 대상 및 연구 신뢰도 확보 방안
Ⅳ. 연구 실행 및 결과
1. 1차 실행 프로그램: “생산과 소비의 이면을 체험하다”
2. 2차 실행 프로그램: “빈곤과 기아 문제에 공감하다”
3. 3차 실행 프로그램: “문화적 차별에 대해 토론하다”
4. 4차 실행 프로그램: “양질의 교육 방안을 만들어가다”
5. 5차 실행 프로그램: “성장과 일자리의 딜레마를 느끼다”
6. 6차 실행 프로그램: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실감하다”
7. 프로그램 효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새롬 Yang, Saerom. 파주 임진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