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연극의 신체의 교육적 의미 정립 - 체화 학습(embodied learning) -

원문정보

A Theorization of the Body of Educational Drama - Embodied Learning -

김주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the status of the body in educational drama is large,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body have not been discussed in depth.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the body as a visual symbol, but not enough to cover the various phenomena of educational drama associated with the body. In respons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body in terms of embodiment and embodied learning. The concept of embodiment is grounded upon monism in which the body and mind are united and also includes the emergence of a new world, and even its perception, which bodymind creates by interacting with the external physical,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The latter process is called 'enacting', and by including the enacting process, 'embodiment' provides a new way of cognition. 'Embodied learning' requires multimodal communicating means, recognizes the presence of bodymind that are related to the world, and encourages awareness of the world through enacting. According to embodied education, educational drama are the most optimized way to it. Taking embodied learning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meaning of educational drama as well as the physical mean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educational drama will be further enlarged.

한국어

교육연극의 실제 실행에서 신체가 차지하는 위상이 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신체에 대한 이론적 논의 가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신체를 시각적 기호 차원에서 다루는 논의들이 있었으나, 신체와 관련 해서 발생하는 다양한 교육연극 현상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체화 (embodiment)와 이에 기반을 둔 체화학습(embodied learning) 차원에서 신체를 이해하는 이론적 틀 을 제공하려고 한다. 체화는 신체와 정신이 합일되는 일원론 개념을 근본으로, 신체정신(bodymind)이 외부의 물리적, 문화적,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일으키는 새로운 세계의 출현, 그리고 이의 인식 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후자의 과정을 ‘실행(enacting)’이라고 명명하는데, 실행과정을 포함함으로 써 체화는 신체와 정신의 역동적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세계의 인식까지 포함하여, 새로운 인식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체화를 구현하는 체화학습은 결과적으로 복합양식적 소통수단을 필요로 하고, 세계와 관계 맺고 있는 현존하는 신체정신(bodymind)을 인정해야 하며,실행을 통한 세계의 인식 을 독려한다. 이처럼 체화학습을 정의하게 되면, 교육연극은 체화학습을 위한 가장 최적화된 길이 된 다. 교육연극의 여러 실천 방식들은 체화학습의 과정을 여실히 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연극 의 신체적 의미뿐만 아니라 교육연극의 교육적 의미로서 체화학습을 이론적 틀로 삼게 되면, 교육연극 의 교육적 잠재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교육연극의 신체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논의들
Ⅲ. 체화 (embodiment) 개념
Ⅳ. 체화학습(embodied learning)의 특징
Ⅴ. 체화학습 측면에서 바라본 교육연극의 체화양식(embodied mode)의 한계
Ⅵ. 체화학습으로서의 교육연극 실천들
Ⅶ.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주연 Kim, Jooyon. 서울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