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1 : '우리' 곁의 '타인'. 그 낯선 소수자의 얼굴들

1970-80년대 서발턴의 자전적 글쓰기 연구 - 노동자ㆍ농민 수기의 서사구조와 욕망의 메커니즘

원문정보

The Autobiographical Writing of Minjung in the 1970-80's

김경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alled nonfiction came to the fore as an important style in the 1970s and 1980s, but existing discussions intended for it mostly focused on laborers' memoirs. So, this study aims to compare laborers' memoirs with farmers' memoirs. They all have story grammar of growth, but the results of growth are very different. Farmers' memoirs was a result of individual desire to overcome a complex of relative inferiority and alienation such as poverty, ignorance, and lack of schooling, and to be an object of recognition and respect. On the other hand, Laborers of this period did not accord with the growth standard required by the period, however they attempted growth in another meaning. They established class identity as the laborer through small group activity that was operated mainly with industrial missionary, and formed a new value. Also, conference and discussion of small group wa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learn autonomous and independent thinking and act. Through this process of exploration, the laborers grew up to be a new human type, citizen. Therefore, Laborers' memoirs recorded with such process of growth was significant in respect that it was not merely a growth story of an individual but also the public and historical growth.

한국어

1970-80년대 들어 많이 생산되기 시작한 노동자, 농민들의 자전적 글쓰기는 이전까지 제 목소리를 온전히 낼 수 없었던 민중들의 변화, 성장을 의미한다. 이들의 자전적 글쓰기가 모두 성장이야기의 문법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지만, 각 이야기의 결말에서 만나는 성장의 완성형이 서로 다르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특히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새마을지도자와 노동운동 지도자라는 성장의 결과물이 아니라, 한 개인의 ‘자전적 글쓰기’ 혹은 ‘자기 서사(self history)’로서의 측면이다. 즉, 이들의 이야기를 거대 담론의 일부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사적 기록으로 다시 읽기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전적 글쓰기는 글쓴이의 욕망과 긴밀한 관계를 이룰 수밖에 없기에, 글쓰기 과정에서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드러나는 사적 욕망의 실체와 그것이 실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가난이라는 출발점은 동일하나 그 안에서 이들이 느꼈던 정서와 결핍 대상의 차이가 이들이 서로 다른 것을 꿈꾸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농민들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정서는 이른바 많이 배우고 잘 사는 사람들에 대한 열등감이었던 한편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상경한 노동자들에게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하는 임무 때문에 개인으로서의 가치와 욕망조차 희생될 수밖에 없었다. 타인과의 상대적 비교에서 오는 농민들의 열등감은 국가와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음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들은 국가가 마련해놓은 기존의 질서와 체제가 인정하고 요구하는 방식으로 성장을 해야 했다. 반면 자본가들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진 노사관계와 국가 정책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고서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었던 노동자들로서는 기존의 관습과 질서를 뛰어 넘는 형태의 성장을 할 수밖에 없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말할 수 없는 자’의 자전적 글쓰기
Ⅱ. 소외된 국민에서 국민의 영웅으로의 성장 : 농민들의 자전적 글쓰기
Ⅲ. 순응하는 국민에서 주체적 시민으로의 성장 : 노동자들의 자전적 글쓰기
Ⅳ. 성장의 시대, 두 개의 성장이야기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경민 Kim Kyungmin. 대구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