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화와 설득을 통한 치유와 회복의 힘 - 『페리클레스』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storation of Identity through Edification and Persuasion in Shakespeare`s Pericles

이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akespeare`s Pericles is categorized as a romance play along with Cymbeline, The Winter`s Tale and The Tempest because they share similarities in theme, plot and storyline. These works are all variations using elements such as adventure and wandering, separation and reunion, marvelous visions, and the fusion of comic and tragic aspects in each work. This article purposes to explore the generic features of Shakespeare`s romance plays and study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figures in Pericles. It is certain that female figures such as the daughter of Antiochus, Thaisa, and Marina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ericles` journey. When he loses his identities as a father and ruler of Tyre through his repeated sufferings, female characters help him retrieve them. While Shakespeare deliberatively portrays Pericles as a vulnerable person with patience in front of his destiny, he inspires the female characters with progressiveness and spirit of challeng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different aspects of male and female figures represented in the play to understand this work because these features are not expected to be seen as general characteristics for male and female figures in Renaissance where Shakespeare lived. Especially, Marina, the only daughter and heiress of Pericles, has active energies to save herself from adversities and give vigor to his father`s life full of the images of seclusion and escape. With her own persuasive power, she edifies, consoles, and exhorts male figures to live better lives. And finally, she leads this play to be converted from tragedy to comedy. Thus, it seem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generally accepted in Renaissance is modified in a roundabout way to find the new model of male and female befitting to a new era by endowing female figures with abilities to lead this play and describe their mature attitude to life.

한국어

셰익스피어의 후기작 <페리클레스>는 <심벨린>, <겨울이야기>그리고 <태풍>과 함께 그 주제나 구조적인 면, 그리고 줄거리에서의 유사성 등을 보이며 셰익스피어의 로맨스 극으로 분류되는 작품이다. 위 작품들은 모두 주인공의 모험과 방랑, 이별과 재회, 초자연적인 힘, 비극적 상황의 희극적 전환 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각기 변주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징들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는 셰익스피어의 <페리클레스>를 통해 셰익스피어 로맨스 극의 장르적 특징들을 살펴보고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이 페리클레스의 모험과 방랑 그리고 그의 정체성 상실과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셰익스피어는 한 나라의 군주이자 아버지인 페리클레스를 의도적으로 운명 앞에 인내하고 침묵하는 나약한 존재로 상정하는 한편, 그의 모험과 방랑의 여정마다 함께하는 여성인물들은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이러한 남녀의 모습은 셰익스피어가 활동하던 당시 르네상스 시대의 일반적인 남녀의 모습과는 상충되는 것이기에 작품 속에 그려지는 남성과 여성의 모습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은 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페리클레스의 유일한 후계자인 마리나는 그녀만의 교화와 설득이라는 자질로 스스로를 구하는 것은 물론이고 은둔과 도피로 점철된 페리클레스의 삶에 활기를 불어넣으며 작품을 비극에서 희극으로 반전시킨다. 이처럼 셰익스피어는 남성인물들보다 여성인물들을 더 성숙하게 그림은 물론 여성인물에게 극의 흐름을 반전시킬 힘을 부여함으로써 르네상스 시대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통념적인 남녀관계에 수정을 가하며 새로운 남녀의 모습을 모색하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마리나(Marina)에 의해 발현되는 교화와 설득의 힘
Ⅲ. 페리클레스의 정체성 회복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은희 Lee Eunhee. 부경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