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Affect in Self-Serving Attribution Bias
초록
영어
There is an old saying, "If good thing happens, it's because of me, If bad thing happens, it's because of forefathers". This old saying show us human's natural tendency: Something that they did there own, if its result is good, they think that because they did well, but if its result is bad, they find someone to blame. This behavior tendency is called "self-serving attribution bias", and it has been researched a lot by psychologist. Researchers explain self-serving attribution bias as motivational aspec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pect. As motivational aspect, self enhancing that try to protect its own self-esteem makes self-serving attribution bias. This study doubts normal option that self-serving attribution bias is come from motivative purpose named enhancing self-esteem, and find out the direct effect more straightforwardly. we are going to devide the kind of affect as happiness, sadness, anger and proceed the research. this derives conclusion that negative affect makes attribution stronger: no relation with enhancing self-esteem.
한국어
우리 속담에 “잘 되면 제 덕, 못 되면 조상 탓”이라는 말이 있다. 자기가 한 어떤 일에 대해, 결과가 좋을 때는 자신이 잘 해서 그런 것이라 생각하지만 결과가 나쁠 때는 남의 탓을 하게 되는 사람의 성향을 잘 드러내는 말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행동 경향은 ‘자기위주 귀인편향’으로 불리며, 오래 전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연구자들은 자기위주 편향을 동기적 측면과 정보처리적 측면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동기적 측면에서 볼 때, 스스로의 자존감을 지키려는 자기고양 동기가 자기위주 귀인 편향을 만들어낸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자기위주 귀인편향이 자존감 고양이라는 동기적 목적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보편적 견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정서가 자기위주 귀인편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다 직접적으로 알아보았다. 대학생 116명(남자 44명, 여자 72명)을 대상으로 정서의 종류를 기쁨, 슬픔, 분노의 세 가지로 구분해 점화 집단을 나눈 후, 준비된 24개의 시나리오를 12개씩(긍정 6개, 부정 6개) 정서 점화 전/후에 무선적으로 제시하여 정서 점화 집단에 따라 점화 전/후의 판단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슬픔 정서의 역할은 극단적이지 않은 내적 귀인 경향과, 나쁜 결과를 보다 내적으로 귀인하고 좋은 결과를 보다 외적으로 귀인하게 하는 것으로, 이에 반해 분노 정서의 역할은 내외 귀인을 보다 분명하게 하도록 하는 것과, 좋은 결과를 보다 내적으로 귀인하고 나쁜 결과를 보다 외적으로 귀인하게 하는 것, 즉 자기위주 귀인편향을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는 자존감 고양이라는 동기와 관계없이 부정적 정서가 귀인편향을 더욱 강화하게 된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문제
IV. 연구방법
1. 실험 참가자
2. 재료
3. 도구
4. 설계
5. 절차
V. 연구결과
1. 기술통계
2. 결과분석
VI. 논의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