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년후견감독 보수심판의 집행과 그 문제점 - 실무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nforcement Problems of the Pay-giving Trial to Adult Guardianship Supervisor - Focused on case studies -

엄덕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has 84.6 percent of relative guardians rate (Japan's 26.2 percent, 2017). Family guardian, including the sons and daughters of the warders, is highly tempted to embezzle property,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encement of guardianship. In order to protect property, which is the basis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warders, the court appoints a legal expert as an adult supervisor. if necessary. The guardian supervisor shall not only prevent future property embezzlement but als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such as a redemption lawsuit of the property that was misappropriated in the past. In order to provide quality supervision services with experts, there must be some proper pay-giving trial and its execution. Value-added taxes will be exempted from 2019 due to the public nature of the payments related to the guardian. When a ward dies, his or her guardian's assignments are closed and it is difficult to receive his or her guardian's payment withouthis heir's cooperation. Even before the death of a ward, the pay-giving trial, which oversees adult guardian supervision, is difficult to enforce the trial if the family guardian refuses to cooperate. In this case, could the pay-giving trial of the guardian supervisors by the Family Court, be a ‘Schuldtitel (or executive power)’ to enforce in the limit of the ward’s property? If the trial is not an executive power, the guardian supervisors should seek a civil court judgement in addition to the family court trial. This would force a very cumbersome procedure and raise questions of the forbidden double suits in the court members. In the working-level process of a family court, the court also gives or rejects the executive clause. Giving the executive clause to the family court’s pay-giving trials would also be compatible with the economic ideology of suit procedures. However, if the current law is applied strictly, it will be difficult to issue an executive clause. It is hard for an adult guardian supervisors to decide whether to file an additional civil suit separately for the execution of a pay-giving trial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legal theory and practice trends of Korea and Japan and explored the potential direction of improvement in practice until legislative measures were taken, as to whether a pay-giving trials by the Family Court was granted an executive clauses. The Supreme Court is required to take more proper measures to improve the law or practice so that only pay-giving trials of the family court can receive executive clauses.

한국어

한국은 친족 성년후견인 비율이 나 된다 일본은 년 84.6% ( 26.2%, 2017 ). 피후견인의 자녀 등 가족후견인은 후견개시 전후를 막론하고 피후견인 재산횡령의 유혹이 크다 피후견인 노후 복지의 기초인 재산보호를 위하여 법원 . 은 필요한 경우에 법률전문가를 성년후견감독인으로 선임한다 후견감독인 . 은 향후 재산횡령 등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과거에 빼돌린 피후견인 재산의 , 소송 등 환수조치를 하도록 한다 전문지식으로 양질의 후견감독서비스를 . 제공하려면 적절한 감독인 보수수여심판이 있고 그 집행이 보장돼야 한다. 후견 관련 보수에 대하여는 공익적 성격 때문에 년부터 부가가치세가 2019 면제된다. 피후견인이 사망하면 후견이 종료되어 후견인보수도 상속인의 협조 없으면 받기가 어렵다 피후견인 사망 이전에도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수여심판은 . 가족후견인이 협조에 불응하면 부득이 강제집행을 해야 한다. 이 경우에 가정법원의 후견감독인 보수수여심판은 피후견인 재산의 한도에서 강제집행을 할 집행권원 이 될 수 있을까 집행권원이 아니면 후견감 ‘ ’ ? 독인은 감정심판 외에 다시 민사법원의 판결 등을 받아내야 한다 이것은 . 매우 번거로운 중 절차를 강요하는 것이 되고 법원 내부에서도 중복소송 2 , 의문이 제기된다. 가정법원 실무처리에 있어서도 보수수여 심판서에 집행문을 부여하기도하고 거부하기도 한다 성년후견감독인 업무수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집행문을 부여하는 것이 소송경제 이념에도 부합할 것이다 그러나 현행 법령을 . 엄격하게 적용하게 되면 집행문 부여가 어려워진다 성년후견감독인은 보수 . 심판의 집행을 위하여 보전소송과 별도의 본안소송을 제기해야 할 것인지판단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가정법원의 보수심판이 집행문을 부여 받아 강제집행의집행권원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 등의 법이론 및 실무동향을살펴보고 입법 조치가 있을 때까지 잠정적인 실무개선방향을 탐색해 보았 , 다. 민사집행 절차에서 가정법원의 후견감독인 보수심판만으로 집행문 부여가 가능하도록 대법원이 보다 명확한 입법 또는 실무개선 조치가 요구된다.

목차

Ⅰ. 들어가며 (100세 고령사회에서 성년후견감독인의역할)
Ⅱ. 종전의 ‘친족회’ 감독에 갈음한 ‘성년후견감독인’ 제도 도입과 감독인 보수 규정
1. 개정 민법상 성년후견감독인의 지위
2. 법정 성년후견에서의 후견감독인 선임 사례
3. 성년후견인에 대한 후견감독인의 권한과 의무
4. 성년후견감독인의 보수 수여 심판과 후견 관련 보수의 부가가치세 면세 입법
5. 실무상 제3자 성년후견인 및 성년후견감독인 보수 심판 집행의 장애 요소
Ⅲ. 이 사건 후견감독 보수심판의 집행 과정 (사례의 내용)
1. 사건의 진행 (성년후견 개시 전후와 재산조사 및 재산목록제출)
2. 가정법원의 후견감독인 보수수여 심판과 성년후견인의 지급채무 불이행
3. 가정법원의 후견감독인 보수심판 자체가 강제집행의 ‘집행권원’인가?
4. 후견감독인 보수심판에 대한 지급명령 신청은 ‘부적법’한가 ?
5. 사건의 경과 : 확정된 지급명령,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집행
Ⅳ.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심판은 강제집행의‘집행권원’인가?
1. 현행법상의 집행권원과 그 종류
2.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수여 심판 (예문)
3.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수여 심판은 ‘비송법 제29조제1항의 집행권원’인가?
4.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수여 심판은 ‘가사소송법 제41조의 집행권원’인가?
Ⅴ.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심판에 대하여 즉시항고나 일반항고가 가능한가?
1. 가사비송사건 심판에 대한 불복(항고)의 허용 범위
2.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수여심판에 대한 쌍방 당사자의 불복가부
Ⅵ. 성년후견감독인 보수심판에 기한 ‘지급명령 신청’은 부적합한가?
Ⅶ. 후견감독인 보수심판 실무방식의 개선(당사자 표시 및 주문기재 방식의 변경)
Ⅷ. 마치면서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엄덕수 법무사, 법학박사, 대한법무사협회 법무사연수원 교수, (사)한국성년후견지원본부 이사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