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정읍 고사부리성 출토 「상부상항」명 인각와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SANGBU SANGHANG」 Stamped Roof Tiles Excavated in Gosaburi Fortress in Jeongeup

이문형, 이다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angbu and Busanghang stamped roof tiles from Gosaburi Fotress have the names of Obu and Ohang stamped on them. It is highly significant that they were found in Jungbang Fortress, an Obang (a local organization) rather than a central organization. By deciphering the two stamped roof tiles and examining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we examined the master craftsmen of roof tiles, the craftsmen who stamped the tiles, and the production system and its time period of the tiles. By examining the vestiges of the seal, the fonts, the strokes of the remaining letters, and the scars of the seal, we discovered that both Sangbu and Busanghang were stamped with the same seal. However, a big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between the two tiles reveals that the tiles were produced by different tile craftsmen. Especially, Sangbu tiles were produced by a tile craftsman with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ontents written on Sangbu Sanghang indicate that they were produced to record the donors. Given that the tiles were not excavated in Gongju, Buyeo or Iksa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were not produced in the central area but near Gosaburi Fotres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tiles produced by different tile craftsmen were stamped with the same seal indicates that it was not the tile craftsmen but the inspector who stamped the tiles, following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stamped-roof tiles with the name of Obu, often found in the central region. Stamped roof tiles show that they were from Baekje in terms of the written content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lthough there may be disagreements about the specific dates, we estimate they were produced in the mid-seventh century, based on the seal vestiges similar to those of Subu, and written contents quite different from the Obu stamped roof tiles from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한국어

고사부리성 출토 「上部??」와 「?部上巷」명 인각와는 五部와 五巷의 명칭이 새겨진 인각와로서 중앙이 아닌 지방을 편제했던 五方, 특히 中方城에서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두 인각와에 대한 판독을 비롯해 기와 제작기법을 통한 와공, 인장을 찍은 주체, 기와 생산체제, 생산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上部??」와 「?部上巷」은 인발, 글자체, 잔존 글자체의 획에 대한 판독, 그리고 인장의 상흔을 통해 동일한 인장으로 날인하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두 인각와는 제작기법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계통이 다른 와공에 의해 각각 생산되었음을 말해준다. 그중 「上部??」은 재지성이 강한 와공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上部上巷」은 표기 내용으로 보았을 때 기부한 곳을 명시하기 위해 생산한 기진용 기와이며, 공주・부여・익산에서 출토되고 있지 않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중앙이 아닌 고사부리성 인근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서로 다른 와공이 생산한 기와에 동일한 인장이 사용되었다는 것은 와공이 아닌 검사관에 의해서 날인되었고, 이러한 생산체제는 중앙에서 다수 출토되고 있는 오부명인각와의 생산체제를 답습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인각와는 그 표기 내용과 제작기법이 백제 기와임을 말해주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 않지만, 「首部」와 인발이 유사하다는 점, 7세기 전반의 오부명인각와 표기 내용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생산시기를 7세기 중엽 이후로 추정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백제 오부명인각와
Ⅲ. 「上部上巷」명 인각와 재검토
1. 발굴조사보고서에 대한 재검토
2. 「上部??」와 「?部上巷」으로 추정한 「上部上巷」
Ⅳ.「上部上巷」명 인각와의 역사적 의의
1. 제작기법을 통해 본 와공
2. 날인 주체와 생산체제
3. 생산시기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문형 Lee, Moon-Hyou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이다운 Lee, Da-Un. 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