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경찰 관리자들의 조직 내 갈등 관리 전략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초록
영어
Conflict management within a police organizatio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eas from the organization management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ocedural entrepreneurship of police mangers when they face difficulties in their workplaces. Adopting a case study strategy, this study examines real cases from three police agencies from Japan, the US, and South Korea. Interviewing police officers from theses different countries, six main themes are identified: (1) the pervasiveness of hierarchical authority, (2) procedural conflict, (3) organizational cultures, (4) the origin of their values and assumptions, (5)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y, and (6) organizational learning. Research findings pointed out that there we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ases, such as the pervasiveness of hierarchical authority, the significance of informal networks,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l networks. The main finding was that police managers used informal network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cedural conflict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All the participants relied on informal communications to raise the adaptability and survivability of their organizations. It was found that the Asi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respectively permeated the three police agencies, supporting the role of informal networks in the formal organizations. This presents a paradox which well reflects the reality of organizations: informality within formality.
한국어
경찰 조직 내에서 갈등 관리는 조직 관리 관점에서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경찰 조직 내에서 절차적인 어려움에 직면할 때 경찰 관리자들이 절차적 혁신성을 갖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사례 연구 전략을 채택하여 일본, 미국 및 한국의 3개 경찰기 관에서 있었던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 경찰기관의 경찰관들을 인터뷰하여, (1) 위계적 권위의 만연, (2) 절차상의 갈등, (3) 조직 문화, (4) 가치와 가정의 기원, (5) 전략의 특성, 그리고 (6) 조직 학습이라는 6가지 주제를 이끌어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경찰기관의 절차적 갈등에 대한 대처 전략에서 유사점이 차이점 보다 많았으며, 계층적 권한의 만연, 비공식 네트워크의 중요성 및 비공식 네트워크의 특성 이 그 예이다. 핵심적인 결론은 경찰 관리자들이 절차상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비공식 네트워크에 상당히 의존했다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들은 비공식적 의사소통에 의존하여 조직의 적응력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 문화적인 요인이 경찰 조직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비공식 네트워크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식적인 조직 내에 비공식적인 요소가 크게 자리잡고 있다는 역설을 보여주는 것 으로 경찰 조직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strategy
Ⅲ. Findings and analyses
Ⅳ. Conclusion
References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