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볼리바르 에체베리아의 바로크 에토스 : 비-자본주의적 ‘다른’ 근대성 추구

원문정보

The baroque ethos of Bolivar Echeverria: Search for ‘other’ modernity of non-capitalism

안태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the discourses of Bolivar Echeverria about the baroque ethos. Echeverria pursues the decolonial theories which emphasize that the capitalist modernity began at the XVI century. But he concentrates on the concept of the baroque ethos. According to Echeverria, the baroque ethos had been shaped in Latin America after that the two different and heterogeneous cultures(civilizations) collided, that is to say after experiencing the serious crises. And so the XVII century is important. The baroque ethos does not comply the modernity and the capitalism as hegemonic ideologies neither reject them at any rate. For this reason, it does not be disclosed easily. Only when it comes to the circumstances of crisis, it appears. In Lain America at the XVII century the two different cultures became to be hybridized and showed up a new integration for something ‘other’ distant from the original identities. This named Fernando Oritz as ‘transculturation’. The cultural hybridization and the baroque ethos are both sides of the same coin. And by the Jesuits had been carried out in Paraguay the experimentation for ‘other’ value different from the capitalist modernity. The concrete utopia for other modernity of no-capitalism is vivid now in Latin America after the end of the XX century. This emphasizes Echeverria.

한국어

이 논문은 볼리바르 에체베리아의 바로크 에토스에 대한 연구이다. 에체베리아는 근대성 이 16세기에 시작되었다는 점을 인정함으로써 탈식민성 이론과 일치한다. 그러나 그는 식민성 개 념의 천착 대신에 바로크 에토스의 분석에 집중한다. 그에 의하면 바로크 에토스는 라틴아메리 카에서 두 개의 서로 이질적인 문화(문명)가 충돌을 겪고 난 뒤에 형성된다. 극도의 위기상황을 체험한 뒤에 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17세기가 중요하다. 바로크 에토스는 지배 이데올로기인 자본주의와 근대성에 대해 순응하지는 않지만 무조건 거부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다시 위기상황에 처해질 때 출현한다. 17세기 라틴아메리카에서 서로 다른 두 문화가 혼종되면서 원래의 정체성에서 벗어나 ‘다른’ 무엇의 새로운 통합을 보여준다. 이 를 페르난도 오르티스는 ‘초문화화’라고 부른다. 문화적 혼종성과 바로크 에토스는 동전의 양면 이다. 그리고 자본주의적 근대성과는 다른 가치의 실험이 예수회에 의해 파라과이에서 17세기에 이루어졌다. 그 비-자본주의적 다른 근대성의 구체적 유토피아는 신자유주의 위기가 구체화된 20세기 말 이후 현재 라틴아메리카에 살아있음을 에체베리아는 강조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17세기 라틴아메리카의 메스티소의 증가와 문화적 혼종성, 바로크 에토스
III. 현실적 에토스/바로크 에토스
IV. 17세기 파라과이 원주민과 예수회의 공동체주의 실험 : 비-자본주의적 ‘다른’ 근대성 추구
V. 20세기 말의 근대성의 위기와 바로크 에토스의 소환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태환 Tae Hwan 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