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Elderly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임인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dy on the effect of elderly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provides the data about improvement of the aged leisure welfare such as improvement of leisure environment for improving senior’s quality of life, determines what factors cause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ffects of elderly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and carries implication about elderly policy later on. The research suggests that korean cultural capital factors show positive effect on personal life satisfaction. Korean cultural capital factors show positive effect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Korean cultural capital factors show positive effect on local community satisfaction. Social capital(capital in network and participation) shows positive effect on personal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capital in network and participation) shows positive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ocial capital(capital in network and participation) shows positive on local community satisfaction. After that, a direction of the policy for elderly should not only carry out that seniors take a rest from complex relationship pursuing a well balanced lifestyle and they can afford great pleasure, culture, unleash their creativity, and search after new challenge in their old age. The policy should help seniors to take a certain role in family and society so that they can live a meaningful life. Further more a direction of the aged policy also should carry out a direction that enables life satisfaction based on korean culture to satisfy and policy development for increasing program that influence in social capita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사회자본 그리고 문화자본이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 는 실증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환경의 개선, 다양한 여가프 로그램의 개발 등 노인여가복지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인들의 문화 자본과 사회자본이 노인들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추후 노인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적문화자본 요인은 나의생활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적문화자본 요인은 가족관계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적문화자본 요인은 지역사회만족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네트워크자본, 참여자본)은 나의생활만 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네트워크자본, 참여자 본)은 가족관계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네 트워크자본, 참여자본)은 지역사회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이후 노인 정책의 방향은 노인들이 인간관계의 긴장상태에서 해방되어 휴식을 취하고 자기 생활의 균형을 회복하는 의미로서의 여가뿐 아니라 자신의 즐거 움과 문화성 및 창조성을 발휘하고 특히 젊었을 때에 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에 도 전하는 등 노년기의 생활을 추구 하며, 노인이 가정 또는 사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발 견하여 매일의 생활을 어떻게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한국적 문화에 기반한 생활 만족에 만족을 줄 수 있는 방향과 사회자본(네트워크자본, 참여자본)의 영향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의 정책개발 방향성을 가지고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적 자본
2. 노인의 생활만족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가설 설정
3.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IV.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의 특성
2.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3. 연구가설의 검증
V. 결론
1. 연구결과
2.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인환 Lim, In-Hwan. 경운대학교 의료서비스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