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축제 평판이 축제장 방문객들의 지각된 가치와 신뢰 그리고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문정보

Effects of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Perceived Values, Trust and Loyalty

김보미, 서철현, 임노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reputation, perceived value, trust and loyalty for developing tourists loyalty to the local festi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l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e classified th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into 6 different factors; Factor of Festival Performance, Factor of Festival Immersion, Factor of Facility Satisfaction, Factor of Festival Material, Factor of Operating Organization and Factor of Accessibility. At the result, the measurement scale which this study used was in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econdly, one studied how th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impacts to perceived value. The result was th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factor of festival performance, immersion, facility s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Also in reliability, factor of festival performance, immersion, festival material, facility s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Thirdly, the perceived value and trust of visitors had significant impact on visitors’‘ loyalty.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and proofs that th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has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trust of visitors. Also, the positive reputation of local festival affects positive loyalty of visitors. Therefore, one provides different point of view which local government could conside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축제장 방문객들의 축제에 대한 애호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서 평판을 고려하여 평판, 지각된 가치, 신뢰 그리고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축제 평판에 대한 측청척도는 축제성과, 축제몰입, 축제소재, 시 설만족, 운영조직, 접근성의 6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축제 평판 요인 중 지각된 가치에는 축제성과, 축제몰입, 시설만족, 접근성의 4가지 요인이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에는 축제성과, 축제몰입, 축제소재, 시설만족, 접근성 의 5가지 요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축제 방문객 들이 지각하는 가치와 신뢰는 축제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인프라의 구축, 수용태세의 정비, 프로그램의 개발, 축제의 운영 등 전반에서 방문객 중심의 사고와 의사결정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 력이 지속될 때 호의적인 평판을 통한 강한 신뢰와 높은 가치의 형성이 가능하며, 방 문객의 지속적인 축제참여와 소비지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역축제 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축제 평판
2. 지각된 가치
3. 신뢰
4. 애호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인구통계적 특성
2. 변수의 타탕도와 신뢰도 검증
3.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보미 Kim, Bo-Mi. 대구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외래교수
  • 서철현 Suh, Chul-Hyun. 대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
  • 임노성 Lim, Noh-Sung. 대구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