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배경과 이념 - 학력관과 학습관 및 수업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Background and Ideological Consideration of Japanes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in 2017 - Focusing on Academic Ability, Learning and Class -

남경희, 한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in Japan and the three perspectives on the basis of capacity-centered scholastic ability, active learning-oriented learning, and changed class imag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expresses the curriculum that is open to society and aims to improve the class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ive, interactive and deep learning. In other words, it is trying to provide a synthesis-level experience in terms of intellectual, functional, and definitional aspects related to the use stage of knowledge in order to implement the lesson centered on qualities and ability and active learning. In addition, as a learning method, subjective learning attempts to enhance communication through dialogue between subjects and to connect to deep learning that is immersed in the target world.

한국어

21세기 접어들어 선진 각국이 핵심 역량이나 21세기 스킬 등을 중시하는 커리큘럼 개혁을 도모함에 따라 일본의 2017년『신학습지도요령』은 이를 적극 수용하여 학교교육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유치원부터 초중고교에서 시행될 예정인『신학습지도요령』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이념을 3가지로 정리하고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자질능력 중심의 학력관과 액티브러닝 중심의 학습관, 그리고 변화된 수업상이다. 사회에 열린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주체적이고 대화적이며 깊이 있는 학습의 관점에서 수업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이러한 시도는 최근 일본 교육개혁이 나아가는 방향을 확실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수업상을 벗어나서 새로운 수업상, 즉 자질․능력과 액티브러닝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기 위해 지식의 사용 단계와 관련한 지적, 기능적, 정의적인 측면에서 종합(synthesis) 차원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 방법으로서 주체적인 배움은 주체 간의 대화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증진하고 대상 세계에 몰입하는 깊은 배움에 연결을 시도하고 있다. 결국『신학습지도요령』에 의한 일본 학교교육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가장 중요한 변인은 변화된 학력관과 학습관에 따른 수업상의 구현과 이를 뒷받침하는 커리큘럼 관리의 성공 여부라 하겠다.

일본어

本論文では、幼稚園から小中高校で実施される予定の「新学習指導要領」が登場することになった背景とその理念を3つの側面、すなわち、資質․能力の中心の学力観とアクティブラーニングを中心と学習觀、そして変化した授業像を中心に見る。社会に開かれた教育課程を標榜して主体的․対話的であり、深みのある学習の観点から授業改善つまり、資質․能力とアクティブラーニング中心の授業を実施するための知識の使用段階と関連する知的、機能的、定義的な側面から総合的な体験を提供しようとしている。また、学習の方法として、主体的な学びは主体間の対話を通じて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促進し、対象の世界に没頭しているの深い学びに接続しようとしている。結局、「新学習指導要領」による日本の学校教育の変化を導いていく最も重要な変因は、変化した学歴觀や学習觀による授業像の実踐と、これを支えるカリキュラム管理の成功といえる。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학력관으로서 자질ㆍ능력 중심의 커리큘럼
1. 자질ㆍ능력 중심 커리큘럼으로의 변환
2. 육성해야할 자질ㆍ능력의 3가지 축
Ⅲ. 학습관으로서 액티브러닝 중심 수업
1. 액티브러닝 중심 수업으로의 변환
2. 수업 개선의 시점
Ⅳ. 새로운 수업상과 수업 실천 사례
1. 새로운 수업상
2. 수업 실천 사례
Ⅴ. 이념 구현을 위한 커리큘럼 관리
1. 커리큘럼 관리의 필요성
2. 커리큘럼 관리 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일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남경희 Nam, Kyong-Heui.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 한용진 Hahn, Yong-Jin. 고려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