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교적 공존과 관용을 위한 시론 - 원효와 최치원의 사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for Religious Coexistence and Tolerance

안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y religions pursue the Absolute in common, but their methods and instruments have been diversified. However, the difference of diversity is often a problem of fertilization, and religious conflicts are still continuing in many places. Therefore, this thesis explored the principles and wisdom of problem solv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which rational solution of religious conflict.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古朝鮮) shows that the inclusiv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who wanted to realize the 'Absolute' represented in 'Light' and 'Brightness' enabled the peaceful integration of two heterogeneous tribes. Wonhyo(元曉) inherited this inclusive spirit and insisted on a pedestrian position that did not end with the conflict in Buddhism. Through his practice of Buddhism, he achieved the Absolute, and expressed his position to embrace Confucianism and Taoism even though he had a Buddhist supernatural view. Because the Absolute is a universal entity that can not be confined to Buddhism. Choi Chihwon(崔致遠) has begun to study from Confucianism, but he insisted that 'the three religions are ultimately a complementary relation, which ultimately leads to one destination', by seeing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awareness of the inclusive spirit of the nation. This subjective inclusive spirit has been succeeded by the spiritual ideology activities of Uicheon(義天), Lee saek(李穡), Hyu jeong(休靜), and Choi jewoo(崔濟愚), and acted as a driving force for overcoming the country and social unity. In this sense, the inclusive ideological tradition of our nation can provide effective principles and implications in various aspects in seeking peaceful integration of modern pluralistic society.

한국어

여러 종교들은 공통적으로 절대자를 추구하지만 그 방법과 계기들은 다양하게 전개되 었다. 그러나 다양성의 차이는 많은 경우 시비의 문제로 비화되어 아직도 곳곳에서 종교 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종교적 갈등의 합리적 해결을 도모하였던 우리 전통사상의 고찰을 통해 문제 해결의 원리와 지혜를 탐색해보려고 하였다. 고조선 건국신화는 ‘환함’ ‘밝음’으로 표상되는 ‘절대자’를 인간세상에서 실현하려던 우 리민족의 포용적 정신으로 인해 이질적인 두 부족의 평화적 통합을 통한 국가 건설이 가 능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원효는 이러한 포용적 정신을 계승하여 불교 내의 화쟁에만 그치지 않는 회통적인 입장 을 주장하였다. 그는 불교 수행을 통해 절대자를 체득함으로써, 비록 불교 우월론적 시각 을 지녔더라도 유가와 도가를 포괄하려는 회통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왜냐하면 절대자 는 불교에만 국한될 수없는 보편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최치원은 유교사상에서부터 학문을 시작하였지만 유·불·도 사상을 섭렵하고 민족 전래의 포용적 정신을 자각함으로써, 삼교가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목적지로 귀착되는 보 완적인 관계임을 주장하는 주체적인 삼교회통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주체적인 포용적 정신은 이후로 의천, 이색, 휴정, 최제우 등의 회통적 사상 활 동으로 계승되어 국란극복과 사회통합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 민족의 포용적인 사상 전통은 현대 다원주의적 사회의 평화적인 통합을 모색함에 있어서 여러 측면에서 유효한 사상원리와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고 하겠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종교의 다양성과 공통성
3. 한민족의 원형적 정신과 계승
1) 고조선 건국신화에 나타난 정신 특성
2) 원효 사상의 원융회통적 성격
3) 최치원 사상의 삼교회통적 성격
4. 맺음말 – 종교 분쟁의 해소를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영석 Ahn, Young-Seok. 안동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인성교육연구센터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