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도가미학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Taoist Aesthetic Meaning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ulmsy

마승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astern Art regards the expression of Tao as an ideal act deeply based on the thought that Taoist puts emphasis on the beauty of nature. This thought is closely related to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Laozi said in Chapter 45: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rtists can finally create lofty artworks by realizing Tao and directly experiencing nature, which is closely relevant to Laozi and Zhuangzi’s pursuit of aesthetic forms through Tao. The phrase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implies the highest state realized by emulating nature rather than following artificial techniques. It is the technique of emulating nature, but it appears naturally when the consciousness to carry it out disappears. In addition, a creator’s artistic talent is revealed when the creator returns to unfamiliarity after mastering his techniques.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will be able to provide a category in explaining an aesthetic thought that seems clumsy but is profound, simple, and natural with a deep meaning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aesthetic sense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is a theory of art that can be used widely beyond the ideas and thoughts of the times and seeks to review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meaning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s an aesthetic keyword.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with a focus on the thought of Laozi and Zhuangzi,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ozi’s Nature of Taoist Principles and the phrase, and explained the attributes of ‘Great Technique’ in light of ‘Naturalness of Inaction’. Also,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stage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nd discuss the meaning of ‘Clumsiness’ through Liu Xizai’s reasoning of ‘You ren fu tian’. The beauty by Laozi and Zhuangzi is nature as it is that appears naturally as the essence of Tao,and ‘Great Technique’ in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re forms revealed naturally but with a clumsy shape by directly experiencing Tao.Although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will not be able to express the entire beauty said by Laozi and Zhuangzi, this paper suggested that it is a sufficient phrase to explain the technical aspect of artistic creation.

한국어

동양 예술은 도(道)의 표현을 이상적인 것으로 여기며 사유의 기저에는 자연미를 중시 하는 도가적 사유가 깊이 담겨 있다. 이런 사유는 노자가 노자(老子) 45장에서 말한 ‘큰 기교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大巧若拙]’는 철학, 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술가 는 도를 깨닫고 자연을 체득해야 비로소 높은 경지에 오른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으며, 이는 노자와 장자의 도를 통해 미적인 형상을 추구하는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교 약졸(大巧若拙)이란 인위적 기교가 아닌 자연을 본받아 이루어지는 최고의 단계에 해당 한다. 그것은 자연을 본받는 기교이나 그것을 하고자 하는 의식마저 소멸되어 자연스럽 게 나타나는 기교이다. 또한 자신의 기법을 충분히 익히고 나면 다시 생경함으로 돌아가 는 상태로 창작자의 예술적 개성이 발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교약졸 은 서투른 듯하나 그 의미가 깊어 그윽하고, 질박하고 자연스러운 미학 사조를 설명하는 데 한 범주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대교약졸의 미의식이 시대사조를 뛰어넘어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 는 예술론임을 제시하며, 하나의 미학적 키워드라는 점에서 대교약졸의 철학적·미학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대교약졸의 의미를 노자와 장자의 사유에 초점을 맞추어 노자의 도법자연(道法自然) 사상과 대교약졸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대교(大巧) 의 속성을 무위자연성(無爲自然性)에 비추어 설명하였다. 또 대교약졸에서의 구조와 그 단계를 살피고 졸(拙)의 의미를 유희재(劉熙載)가 말한 유인복천(由人復天)적 사유를 통 해 논하고자 한다. 노자와 장자가 말한 아름다움은 도의 본질로서 저절로 나타나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며, 대교약졸이라는 용어에서 말하는 큰 기교는 도를 체득하여 그 형상 이 서투른 듯하나 자연스럽게 발휘된 형태이다. 대교약졸이 노자와 장자가 언급한 아름 다움의 전부를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나 예술 창작의 기교적 측면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용어임을 제시하였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노자의 도(道)와 대교약졸(大巧若拙)의 관계성
3. 대교(大巧)의 무위자연성(無爲自然性)
4. 대교약졸(大巧若拙)의 구조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마승재 Ma, Seung-Jae.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