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Nam-yeom-bu-zhu-ji’s Virtual Reality and Horizon of Life 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ological Imagination : Focusing upon the Paradox of Seonbi Spirit
역학적 상상력에서 본 「남염부주지」의 가상적 실재와 생명미학의 지평 : 선비정신의 역설을 중심으로
초록
영어
The essay tries to approach to the narrative structure of Nam-yeom-bu-zhu-ji to reflect a Neo-Confucian process of life through the imagination of changeology. The keypoint is a kind of paradox of Seonbi Spirit in the Neo-Confucian world-view of One Principle and Its Multi Manifestations. Kim Si-seup tried to overcome the impending reality of heavy-handedness, but there was no way to resolve the real world of dictatorship and hypocrisy in Yi dynasty. There is a kind of virtual reality, that is, a deeper world of human consciousness indifferently to recognize this world of reality. There is a triple line of life spirit in the Learning of Dao, that is, a successive line of self-realization, a same line of Seonbi Spirit, and a extending line of life and death. This world is closely associated with such contents as the special region of yeom-bu-ju, the enlightenment of people mind, the abdication of the king Yama, etc. This structure has some synergy effects on intensifying the constitution of narrative, deepening the compactness of theme, and sublimating the style of life. Kim Si-seup searches for the possibility of planning and expecting self-realization in Park Saeng’s life. Consequently, it seems to me that he did not abandon a dream of the Learning of Dao to expect a reversible time of future Restoration in such a irreversible time as the impending reality of Sejo dynasty, and furthermore that he paradoxically suggested to overcome this world of reality only through the Neo-Confucian Seonbi Spirit such as sacrificing oneself to preserve one's integrity.
한국어
본고에서는 「남염부주지」의 서사적 구조와 그 특징을 易學的 상상력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그 논점은 理一分殊의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실재의 현실과 가상의 실재가 어떻게 교차되어 김시습의 自意識의 심층적 세계를 형성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는 꿈과 현실의 이원적 구조를 설정하지만 기존의 소설과 다르게 꿈이라는 가상의 실재를 통해 실재의 현실을 연상시켜서 전자를 후자를 극복할 촉매제로 활용한다. 그는 세조의 왕위찬탈, 위선 등과 같은 가혹한 현실의 세계를 맨낯으로 직면하지 못하고 염부주라는 또 다른 가상의 세계를 엄중하고도 생생한 현장감있게 살려내어 道學의 문제의식을 극대화하고 자신의 입지를 극복하려는 일종의 대리충족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다. 박생이 직면한 현실적 歸依의 숙명과 이상적 念願의 실현은 易學의 생명정신을 기조로 하여 각각 物化의 실재와 理化의 실재로 상징화될 수 있다. 이들의 실재는 道學의 통합적 차원에서 삼중의 노선, 즉 자아실현의 연속선, 삶과 죽음의 연장선 및 선비정신의 동일선으로 얽어진다. 이러한 노선은 서사의 구성을 강화하고 주제의 긴밀성을 심화하고 삶의 모습을 승화하는 일종의 종합적 효과를 발휘한다. 그 속에 선비정신의 逆說은 可逆的 시간성을 지닌 생명미학의 지평으로 확충된다.
목차
I. 문제의식의 발상
II. 一理論의 강령과 理一分姝의 차원
III. 炎浮州의 가상적 실재, 物化 및 理化의 세계
IV. 朴生의 선비정신과 생명미학의 지평
V. 문제해결의 전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