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혁신활동이 신사업 발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신사업 전담조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Innovation Activities on New Business Form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New Business Team

김은정, 안준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rporate entrepreneurship plays a vital role in establishing healthy and vibrant national innovation system by proposing new values and stimulating firm level spin-offs. However, domestic literature lacks research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compared to individual founders’ entrepreneurship.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diverse innovation activities on new business creation along with the moderating role of new business team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2012 data suggest that (1) exploring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product and marketing innovations, show positive impacts on new business creation, and that (2) new business team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oitative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proces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and new business creation. This study provide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n firms’ new business formation, the understanding on diverse innovation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setting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We also discus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한국어

기업의 사내기업가정신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기업의 사업영역 확대, 분사 촉진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나, 국내에서는 사내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는 사내기업가정신 제고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기업의 신사업 발굴활동에 집중하였는데, 특히, 기업의 신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혁신활동이 무엇이고 어떠한 상황에서 이러한 혁신활동들이 신사업 발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한국기술혁신조사 2012」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는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이 어떻게 다양한 혁신활동을 이해해야 하며, 어떻게 혁신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제품혁신이나 마케팅혁신 같은 탐험적인 혁신활동은 신사업 발굴성과에 긍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였으며, 연구개발기능을 가진 신사업 전담조직 같은 조직적 세팅을 통해 공정혁신이나 조직혁신 같은 활용적 성격의 혁신활동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다양한 혁신활동의 성격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신사업 발굴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III. 데이터 및 연구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Appendix] 변수들의 상관관계 및 기초통계량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정 Kim, Eunjung. 일본능률협회컨설팅 한국법인 컨설턴트
  • 안준모 Ahn, Joon Mo.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