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일동포의 “민족교육”을 위요(囲繞)한 배 타구조의 변화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Exclusion Structure surrounding the Ethnic Education of Japanese-Korean

권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s in the exclusion structure of Japanese-Korean ethnic’s education.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the exclusion structure of Japanese-Korean ethnic education has changed, and finds ways to overcome the exclusive "Ethn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based on the emotion of primitive nationalism at the time of the beginning of the ethnic education, and the exclusive tendency was weak. Second, while the education of the people was oppressed, an exclusionary relationship was formed between Japanese-Koreans and oppressors. Third, the left side of the CHORYUN who led the ethnic education and the emergence of Mindan formed an exclusive relation with the Japanese as well as an exclusive relationship with Japan. Fourth, the ideological and national nationalism is firmly established in the background of the exclusionary relationship and the national demand for "ethnic education" is reflected. Fifth, we have constructed a more complicated multi - structure with Koreans who think that national education is an opportunity for root - find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individual subjectivity, and the inter - Korean conflicts that require collective attributes due to political nationalism. Sixth, as the degree of exclusion was weakened due to the multiplicity of the exclusionary relationship, Japanese-Korean resumed symbiosis with others, including Japan,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desire of humiliation, departure and liberation in the multiple exclusion relations will lead to the pursuit of coexistence with the other through the world over Japan and Korea.

한국어

이 연구는 재일동포의 “민족교육”을 위요한 상황에서 파악될 수 있는 배타구조의 변 화를 밝히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재일동포 “민족교육”의 배타구조가 어떻게 변화해왔 는가를 살피고, 배타적 “민족교육”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교육이 시작될 당시 원초적 내셔널리즘의 정서에 바탕을 두고 있었으므로 배타적 성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족교육이 탄압을 받으면서 동포와 탄압자 (일본, GHQ)와의 사이에 배타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셋째, 민족교육을 주도해온 조련의 좌경화와 민단의 결성으로 일본과의 배타적 관계뿐만 아니라 동포 간의 배타관계 도 형성되어 다중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넷째, 배타관계의 배경에 체제 이데올로기와 연 계되는 국가주의적 내셔널리즘이 확고하게 자리함으로써 “민족교육”에 대한 국가의 요 구가 강하게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민족교육을 집단적 속성의 내재화보다 개개 인의 주체성의 기반인 뿌리 발견의 기회로 여기는 동포들과, 정치적 내셔널리즘에 연유 하는 집단적 속성의 육성을 요구하는 남북사이에 갈등과 배타관계가 성립하여 더욱 복잡 한 다중구조를 구축하게 되었다. 여섯째, 배타관계의 다중성이 증대되면서 배타의 정도 는 약화되고 이 과정에서 동포는 주체적 개인으로서 일본을 포함한 타자와의 공생을 모 색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민족교육은 다중적 배타관계 속에서의 갈등의 체험과 이로부터 이탈, 해방의 욕구가 일본과 한국을 넘어 세계를 무대로 한 활동, 타자와의 공 생을 모색하는 노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요약문
Ⅰ. 문제 제기
Ⅱ. 원초적 내셔널리즘에 토대한 “민족교육”의 출발
1. 해방과 귀국 준비
2. 귀국의 좌절과“ 민족교육”체제의 변화
Ⅲ. 탄압·저항·체제 갈등 속의 “민족교육”과 배타구조의 다중화
1. 한신(阪神) 교육투쟁
2. 반공태세의 강화-“민족”에 우선하는 체제유용성
Ⅳ. 자기찾기 “민족교육”과 새로운 배타관계의 형성
1. 한일국교정상화와“ 민족교육”의 약화
2.“ 민족교육”에 대한 동포의 기대와 국가적 요구의 괴리에서 싹터온 배타관계
Ⅴ. 배타와 공생의 사이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오정 Kwon, O-Jung. 일본류코쿠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