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대학 교양 교육의 인문 코드

인문교양 교수자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Humanities Professors’ Perception of Creativity

권보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the heart of the essential skills for the 21st century lies creativity. Creativity is vital for the development of societies and individuals in the future, and therefor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schools and teachers to foster creativity in students. Given that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e potential in either a positive or a negative wa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eachers perceive creativity in schools.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by the college professors teaching humanities in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gather data from 53 Korean college professors. According to th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ollege professors demonstrated a contradictory conception of creativity. That is, many teachers believed that creativity can be developed in everyone, and at the same time a substantial number of teachers viewed that creativ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lligence and only a small fraction of students they teach have crea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necessity of creative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creativity is crucial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e facilitation of students’ creativity is included in the college professors’ role. However, when their self-efficacy in creative teaching is measured, it turned out that the college professors don’t feel well-trained to play the given role. Lastly, they reported that college professors’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est-oriented curriculum, and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re major obstacles to creative teaching.

한국어

창의성은 21세기에 요구되어지는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창의성은 사회와 개인의 발달에 필수 적이고, 따라서 학교와 교사는 학생들의 창의성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받고 있다. 교사 가 학생의 창의적 잠재성 개발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사들 이 학교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인문교양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를 대상으로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53 명의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에 따르면 인문교양 교수자는 창의성의 본질에 대해 서로 모순되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수의 인문교양교수들이 창의성은 모든 사람에게서 길러질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창의성은 지능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소수의 학생들만이 창의 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참여자 가 창의성이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대한 역량이고,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주는 것 이 교수로서의 자신의 역할 중 하나라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의성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했을 때, 인문교양 교수자는 스스로가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 도록 잘 훈련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자가 전통적인 교수법 에 익숙하고, 시험 위주의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으며, 학생 수가 너무 많다는 점이 창의성 교육 의 저해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권보영 Bo-Young Kwon. 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