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학습병행제의 HR효과 - 횡단 참여기업과 종단 참여기업의 비용편익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HR Effect of Work-based learning System - Focusing on the cost benefits of cross-participating companies and end-participating companies -

성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policy evaluation for the 'Five-year Roadmap on Job Policies' and the unemployment rate for the youth have been the main focus of the government on job creation and employment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four - year cooperative learning system on the one hand of the government 's financial busines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major issues. In terms of firms, we analyzed the cost benefits of cross-participating companies and end-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case of cross-participating companies, 2013 (5th) will be 2945.96 million won, 2015 (6th) -37250.12 million won, 2017 (7th) will be 2463.64 million won, 2015 (6th) The net benefit was generated. The benefit cost ratio (B/C) was 1.19, positive (+),In 2015 (sixth), there was a negative impact of 0.35, B/C ≥ 1 in 2017 (7th) and 1.08 respectively. For end-The second year of work-related concertation is 199.55 million won (2015)Decrease by about 54.77% compared to before 4th year 2017 (7th) to 6226.68 million wonA net benefit of about 31% increased. The benefit cost ratio (B/C)5.36, before the introduction of work-related concert system, 1.01 (6th) in 2015,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ratio of 2.63 (7th) in 2017, 2015 (6th) and 2017 (7th) 1.01 B/C ≥1, 2.63 B/C≥ 1, I have confirmed that my work combination is an effective youth job policy. The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cademic aspect, John Dewey 's theory of experience and Dawis' s and Lofquist' s theory of job adaptation discuss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introduction and the purpose of the work-based learning. At the present time, which is the 'employment gap', the long-term alternative of the employment policy based on the theoretical introduction is to raise the interests of industry, academia. Second, in terms of practicality, companies should set up a work-based learning system as HR (Human Resources) system.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long-term service and reduction of the unemployed whe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such as internal evaluation, promotion and compensation, certification, I think that the problem of elimination can be fundamentally solved. Thir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 Since the system is institutionalized at the national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trend, the work-based learning system is also a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ystem, which provides education for various ethnic groups and classes and establishes a continuous type of lifelong education without blind spots.

한국어

최근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에 대한 정책평가와 청년층 체감실업률로 인해 정부는 일자리창출과 고용정책을 최대 중점 과제로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 재정사업의 한 축에 있는 도입 4년차 ‘일학습 병행제’ 의 경제적 성과를 살펴보고 주요 쟁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업 측면에서 횡단 참여기업과 종단 참여기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횡단 참여기업의 경우, 2013년(5차) 2945.96백만원, 2015년(6차) -37250.12백만원, 2017년(7차) 2463.64백만원으로 2015 년(6차)에 마이너스 편익에서 2017년(7차)에 들어서면서 순편익이 발생하였다. 편익/비용비율(B/C)은, 일학습병행제 도입 전 1.19,정(+), 2015년(6차) 0.35로 부(-)적인 영향이 있었고, 2017년(7차)도는 1.08 로 B/C≥1로 나타났다. 종단 참여기업의 경우, 일학습병행제 2년차인 2015년(6차) 199.55 백만원으로 시행 전보다 약 54.77% 감소세를 보이다 4년차 2017년(7차) 6226.68 백 만원으로 약 31% 증가한 순 편익이 발생하였다. 편익/비용비율(B/C)은, 일학습병행제 도입 전 5.36, 2015년(6차) 1.01, 2017년(7차) 2.63으로 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2015(6차)년도와 2017년(7차)도 각각 1.01 B/C≥1, 2.63 B/C≥1, 로 나타나 일학습병행제가 실효성 있는 청년일자리정책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측면에서 John Dewey의 경험이론과 Dawis & Lofquist 직업적응이론을 통해 일학습병행제의 도입취지와 목적에 부합 한 이론적 근간을 논하였다는 것이다. ‘고용대란’인 현 시점에서 이론적 도입에 따른 일자리정책의 장기 적 대안으로 일학습병행제의 산ㆍ학ㆍ연의 이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둘째, 실 무적 측면에서 기업은 일학습병행제를 HR(Human Resources)제도로써 정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학 습근로자에게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인적개발과 훈련성과에 따른 내부평가나 승진과 보상, 자격인 증, 학위연계 등 인적관리 체계가 정착할 때 장기근속, 이직자 감소에 기여할 수 있고, 중소기업 기피현 상이나 중도 탈락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정부는 평생직업교육체제로써 뒷받침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가차원에서 제도화하고 있기 때문에 일 학습병행제 역시 평생직업교육체제로써 다양한 민족과 계층을 위한 교육화를 마련하여 사각지대가 없 이 시기별로 구획되지 않는 연속적 형태의 평생교육을 제도적으로 안착시켜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John Dewey의 경험이론
2.2 Dawis &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
2.3 국내 일학습병행제 비용편익 선행연구
2.4 주요국의 일학습병행제 비용편익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조사도구 및 자료 표본
3.2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is)
3.3. 비용편익의 분석 기준
3.4. 비용편익 산출 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4.1. 일학습병행제 비용편익 분석
4.2 일학습병행제의 편익/비용비율(B/C)
4.3 종단 참여기업에 대한 고찰
4.4 일학습병행제를 지속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고찰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성수현 Su-Hyun Sung.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