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Ego-State by Egogram,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초록
영어
Ego-state by Egogram is a good tool to use in educational field aiming at change and development because it can quantitatively grasp functional structure of five ego states of TA. This is because the function structure of the self can be quantitatively understood. It is believed that i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go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s proved, it will be possible to obtain important basic data for constructing th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elf -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rough the Egogram activation techniqu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gogram has a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Ego status,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among the Egogram self-status, Critical Parent (CP) and Adaptive Child (AC)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independency, belief, determinacy, and readiness of career maturity, but not on fina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parental parent (NP), adult (A), and free child (FC) in positive affects to increase self efficacy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combining the edu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Ego staus can contribute to enhance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한국어
Egogram 자아상태는 교류분석의 5가지 자아상태의 기능구조를 그래프로 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화와 발전을 목표로 하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 좋은 도구이다. 대학생의 Egogram 자아상태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성이 검증된다면 Egogram 활성화 기법을 통한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모델과 대안모델의 구조 분석 결과, 첫째, Egogram 자아상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에는 구조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gogram 자아상태 중 비판적어버이(CP)와 순응하는 어린 이(AC)는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독립성, 확신성, 결 정성, 준비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목적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적 영향관계에 있는 양육적 어버이(NP), 어른(A), 자유로운 어린이(FC)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Egogram 자아상태를 측정하고 활용하는 교육을 접목시킨다면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진로성숙도 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Egogram 자아상태
2.2 자기효능감
2.3 진로성숙도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측정도구
3.3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4.1 표본의 특성
4.2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
4.3 구조모형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