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잠재계층분석(LCA)

원문정보

A Study on Youth Employees' Classification based on Job Mismatch Typ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조성은, 이영민, 임정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ed to classify types of youth employee by their job mismatches and to figure out major factors that can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used '2015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5 GOMS)' that is offer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it include information of college graduates' job seeking, labor market entering. Total number of youth is 12,333, they graduated college in August 2014 or February 2015 and had age between 19 to 34. For classifying youth, this study used job mismatch variables include education, skill and major in college and use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th employee's job mismatch classific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Discordance type, Education level match type, Education and Skill level match type. Second, 'Education and Skill level match type' have characteristics that these students are diligent to school life and have lower standards for entering job market. As a result, they quickly entered the labor market. Third, 'Education level match type' seems to want having high salary job and have long time for job preparing. Then, even if level of skill did not match, they would have correct wage level job. Lastly, 'Discordance type' have a lot of effort for work like internship, vocational education. But they have high mismatches in education, skill and major in college.

한국어

본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유형을 구분하고, 대졸 취업자의 불일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9세~34세 사이의 전문대 이상 대졸자 중 현재 일자리 를 가진 청년 12,333명이며, 청년의 대학졸업 이후 구직, 노동시장 진입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2015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5GOMS)’자료를 활용하였다. 직무불일치 변수는 교육, 기술, 전공 등 세 개 변수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잠재계층분석, 차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유형은 “(전체)낮은일치형”, “교육수준일치 형”, “교육․기술수준일치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기술수준일치형’은 재학 중 학 교생활과 학업에 충실한 학생들이 자신의 눈높이를 낮게 설정한 결과 빠르게 노동시장으로 진입한 특 성을 보였다. 셋째, ‘교육수준일치형’은 임금이 높은 일자리로의 취업을 원하여 자발적으로 비교적 긴 시간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어느 정도 임금수준이 맞으면 기술수준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교육수준이 적합한 일자리에 취업하였을 것이라 유추할 수 있다. 넷째, ‘낮은일치유형’은 재학 중 인턴, 교육훈련 이 수비율 등 가장 적극적으로 취업을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교육수준, 전공, 기술수준 모두에서 일치수준 이 낮은 집단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취업노력에도 불구하고 불일치 취업을 선택한 원인을 다 각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2.1 청년층의 노동시장 직무불일치의 개념과 유형
2.2. 청년층의 직무불일치의 요인과 노동시장 성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분석자료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잠재계층 유형 분석
4.2 청년 직무불일치 잠재계층별 차이 분석
4.3 청년 직무불일치 예측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은 Sung-eun Cho. 숙명여자대학교 인력개발정책전공 박사과정
  • 이영민 Young-min Lee.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교수
  • 임정연 Jung-yeon Lim. 한국폴리텍대학 교육훈련연구센터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