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혁신학교 발전방향 모색 - 일본 커뮤니티스쿨의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evelopment Directions of Innovation Schools: Focusing on SWOT Analysis of Japanese Community School

김남경, 정진철, 송정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munity school in Japan in terms of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Japan is very similar to the domestic industry, economy and education environment including 6-3-3-4 academic system. In Japan, as in the domestic situation, It have been worried about various problems such as bullying, school violence, school dropout, suspension of school attendance, and so on. The community school has established a new school, and has been receiving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by using local participation, help, and available infrastructure. 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which is being piloted from 2015. As a result of the swo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enter, and management of personnel in charge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for community school teachers to reduce their work, to organize a pool of local experts, and to provide incentives for community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donator. In addition, the combination model of the school management council and the community cooperative headquarter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초등학교 커뮤니티 스쿨을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4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여, 국내 혁신학교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웃나라 일본은 6-3-3-4학제를 비롯한 산업, 경제 및 교육 환경이 국내와 매우 유사하다. 일본에서는 현재 국내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집단따돌 림, 학교폭력, 학력저하, 학교탈락, 등교중지 등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10년 전부터 고민 하고, 공교육의 한계를 인식하였다. 이에 커뮤니티스쿨이라는 새로운 모습의 학교를 정 착시킴으로써, 지역의 참여와 도움, 가용 인프라를 이용해 긍정적인 교육성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학교와 지역의 연계협력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커뮤니티스쿨 진행과정과 결과에 대해 SWOT분석을 통하여 2015년부터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국내 혁신학교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지역과의 연계협력에 있어서 지역-학교를 조율하는 센터와 시스템, 담당 인력의 효율적 운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티 스쿨 교사들의 업무경감에 대한 실천, 지역 전문가 인력 풀 구성, 지역사회의 가용 인프라 및 교육기부에 대한 인센 티브 등이 핵심적인 내용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 운영 시스템적 측면에서 학교운영협 의회와 지역사회협동본부의 결합형 커뮤니티스쿨의 모형이 지역과의 연계협력에 있어 서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국내 혁신학교 운영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공공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법 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 와 지역의 실무인력 성과보상체계 및 인사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혁신학교 운영 플랫폼 구축에 따른 후속 학교의 수월한 벤치마킹이 중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국내 혁신학교의 개념 및 취지
2. 국내 혁신학교의 현황 및 문제점
3. 일본 커뮤니티스쿨의 개념과 구조
4. 일본 커뮤니티스쿨의 지정, 운영, 평가
5. 일본 커뮤니티스쿨의 2가지 유형
6. 일본 커뮤니티스쿨의 실제 사례
7. 일본 커뮤티니스쿨의 성과 및 한계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1. SO전략(강점-기회전략)
2. ST전략(강점-위협전략)
3. WO전략(약점-기회전략)
4. WT전략(약점-위협전략)
V. 결론
1.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2. 국내 혁신학교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남경 Gim, Nam-gyeong. 샘말초등학교 교사
  • 정진철 Jeong, Jin-Chul. 서울대학교 교수
  • 송정순 Song, Jung-Soon. 성지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