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세기 중국 조선족문학의 집단정체성과 문화적응 양상 - 민족경계의 분화와 변천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ollective Identity and Acculturation Patterns in the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the 20th Century :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iation and change of ethnic boundaries

나소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scussions about Korean Diaspora with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usually put an emphasis on the sharing of collective memories about the mother country, maintenance of the identity of the unique national culture, and efforts for it. It is characterized by its concentration on patterns related to the historical separ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tructive nature of collective identity and overall patterns of acculturation in the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formed a dynamic cultural community throughout the form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underwent a process of changes. It set out to analyze discourses about the differentiation of ethnic boundaries and changing processes from the literature of Joseon people in the early days of their immigration to the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during the Reform and Opening period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understanding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for their collective identity as a people requires an insight into their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 and context of humanities they brought based on their history of settling down as a minority cultural community in China and on their accumulated cultural elements, as well as a unique venue for public cultural opinion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t concepts of people between the mother country and the current resident nation. This approach is a preceding task to investigate the diverse variations of the community culture among the Korean people and their horizontal distribution. It is expect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ond or segmentation patterns of different cultural communities of the Korean people in a synthetic manner on the extension of this task.

한국어

본고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독자적인 단위의 문화공동체를 형성하고 역동적인 변천 의 과정을 겪어온 중국 조선족의 문학에 나타난 집단정체성의 구성적 성격과 문화적응 의 제 양상에 주목하여, 이주 초기 재만조선인문학으로부터 20세기 후반 개혁개방기에 이르는 조선족문학에서의 민족경계의 분화와 변천 과정에 관한 담론들을 분석한 것이 다. 이주 초기 재만조선인문학은 조선과 중국 ‘사이’에서 마이너리티로 외면당한 이민자 집단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있어서 국가나 국경, 국토와 분리된 ‘북향의식’을 보여주며, 중화인민공화국에 ‘소속’된 이후 시기 조선족문학계는 조국과 모국, 국적과 민족적 정체 성의 갈등에서 오는 이중정체성 문제를 중심적으로 다룸으로써 중국 내 소수민족으로서 의 정치적 자각과 이에 따른 민족경계의 분화를 전경화하고 있다. 개혁개방기 이후 조선 족문학에서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거주국에서의 문화적응 문제이며 민족문학의 혈통 을 지켜나가는 것과 동시에 접본과 융합을 지향하고자 하는 배경의 핵심에는 민족공동 체에서 문화공동체로 새롭게 구성되어가는 중국 조선족의 집단정체성 문제가 있음을 본 고는 밝히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조선족에 있어 민족이라는 집단정체성에 대한 이해 는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 문화공동체로 자리매김해 온 내력과 그에 따라 축적된 문화요 소들을 토대로 그들이 가져온 역사와 문화, 인문학적 전통과 그 맥락에 대한 통찰을 요 구하는 동시에 모국 및 거주국의 상이한 민족개념을 상호조명하는 특수한 문화적 공론 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근은 한민족 공동체문화의 다양한 변이태들과 그 수평적 분 포를 조망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서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에서 한민족문화공동체 간의 상호작용과 유대, 혹은 분절의 양상이 종합적으로 규명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간도(間島)-‘사이’의 좌표
III. ‘소수’ 민족문학의 정치성
IV. 접본의 원리와 변인으로서의 ‘민족’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나소정 Sojung, Nah.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